국내 통화정책이 7년여의 완화기조와 결별을 앞두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29일 굿모닝신한증권 조중재 연구원은 외환위기이후 기업과 가계부채의 구조조정 등에 따른 충격 완화를 위해 시작했던 통화완화 기조가 전환점에 도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초기 미지수로 여겼던 시중금리의 하향 안정화를 실현하는 등 일부 목적을 달성한 반면 부동산 가격상승이라는 예상치 못한 부담도 떠안고 있다고 지적. 가계와 기업 모두 이자부담이 경감되었으나 지속적으로 차입의존도를 줄여온 기업의 금리하락 효과는 줄어들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소득부채비율이 102%까지 확대된 차입금규모에서 알 수 있듯이 가계의 금리하락에 따른 이자부담 효과는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개인부채는 주택가격과 연동하는 속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한은이 금리인하를 통해 가계의 이자부담을 줄여주려고 해도 가계가 늦을세라 차입을 늘려 무리하게 선취매에 나서면 의도와 정반대로 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 이자부담의 비중은 오히려 상승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조 연구원은 "한은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금리인하의 효과가 기업쪽에서는 체감중이며 가계는 역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등 금통위도 통화정책 부작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한 기업 지원정책도 그동안 '안고가자'이던 논리가 '솎아내자'는 쪽으로 선회하고 있는 점도 통화정책 변경 가능성을 지지해주고 있다고 설명. 채권시장과 관련해 정책금리 동결이 당분간 이어지더라도 금리 인하 가능성이 열려 있는 시기와 그 가능성이 막혀 있는 경우의 운용전략은 상이하다고 강조했다.채권시가평가이후 실질적으로 처음 맞은 통화정책기조의 변경은 과거와 다른 전략을 필요로 하고 있다며 방어적 포트폴리오와 금리 하락세 듀레이션 축소를 추천했다. 한경닷컴 박병우기자 parkb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