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주냐,대형주냐.'


하반기 주도주를 놓고 증권가의 시각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상반기에는 중소형주가 'KO승'을 거뒀다.


상반기 거래소시장에서 중형주는 39.6%,소형주는 48.9% 상승해 종합주가지수 상승률(12.8%)을 크게 웃돌았다.


중소형주 중심의 코스닥지수도 28.9% 올랐다.


반면 대형주는 11.7% 상승에 그쳤다.


하반기에도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지,아니면 대형주의 반격이 시작될지 증권가의 상반된 입장을 들어본다.


하반기에는 대형주의 대반격이 시작될 것이다.


우선 국내 대표기업들의 '부진 탈출'이 본격화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LCD(액정표시장치) 등 주요 IT(정보기술) 제품 가격의 하락세가 둔화된 데다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과 원·달러환율 안정의 효과가 가시화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국내 증시의 영국 FTSE지수 편입 여부가 9월 중 결정되는 점도 대형주의 매력을 더하는 요인이다.


한국 증시가 FTSE지수에 편입되면 '신흥시장'이 아닌 '선진국시장' 대접을 받게 돼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의 저평가 현상)가 해소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대형주 주가가 한 단계 '점프'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다 국내 대표기업들이 자사주 매입,고배당 실시 등 주주중시 정책을 펴고 있어 대형주의 하방 경직성이 커질 전망이다.


상반기에 중소형주의 상대적 강세가 두드러지기는 했지만 주식시장의 특성에 비춰볼 때 이 같은 현상은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


종합주가지수 1000포인트 시대에 주가를 한 단계 '레벨 업' 시킬 수 있는 것은 대형주뿐이다.


대형주 가운데 주목해야 할 업종은 IT주와 자동차주다.


대형 IT업체들은 그동안 충분한 재고 조정을 거친 데다 하반기 계절적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업황 개선 효과를 톡톡히 누릴 것이다.


자동차주도 고가 제품 위주의 라인업 구축,내수판매 회복,미국 '빅3' 업체의 가격 경쟁 포기 등이 호재다.


중장기 가치투자 문화가 정착되면서 경기방어주 중에선 한국전력KT&G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