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외국투자기업의 60%가 '투자에 대한각종 규정 및 절차'에 불만을 느끼고 있으며,25.3%가 '수도권 공장 신·증설 제한으로 투자를 지연하거나 축소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지난달 21∼29일 리서치인터내셔날에 의뢰,도내 외투기업 158개사를 대상으로 투자환경에 대한 전화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특히 수도권 내 공장 신·증설 제한으로 인해 투자를 지연하거나 축소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기업 가운데 32.5%는 투자를 아예 취소했고,15%는 중국 등 외국에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 투자 후 애로사항으로는 40.5%가 '투자확대를 저해하는 각종 규제법령'이라고 지적했다. 다음으로 '교통 교육 의료 문화 등 주거환경문제'(24.1%),'노사문제로 인한 경영애로'(7%),'행정상의 지원미흡'(7%) 등을 꼽았다. 수도권 입지 규제에 대해서는 50%가 '부당하다'고 답했고,이 중 59.5%는 '기업의 입지는 시장원리에 따라 기업이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에 투자한 동기는 '수도권이라는 거대 소비시장 보유'라는 응답이 51.9%로 가장 많았고,'숙련된 노동력 및 고급기술 인력 확보 용이'(16.5%),'한국산업의 중심지역'(12%),'공항 항만 등 최적의 인프라 구축'(10.8%) 등 순이었다. 도청 관계자는 "외투기업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 규제에 불만을 느끼고,심지어 다른 나라로 투자를 돌리고 있는 현실을 정부가 제대로 인식해 수도권 정책에 반영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수원=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