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공시價 이의신청 87.9%가 "올려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처음 고시된 다세대·연립주택의 공시가격을 올려달라는 집주인들의 요구가 단독주택에 비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4월 처음으로 공시된 전국 419만725가구의 단독주택 공시가격에 대한 이의신청 건수는 전체의 1.17%인 4만9188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표준지공시지가 이의신청 비율(0.7%)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다.
이 가운데 집값을 내려달라는 요구는 4만3231가구(87.9%)에 이른 반면 올려달라는 요구는 5957가구(12.1%)에 불과해 공시가격에 따른 세금 부담을 줄이려는 집주인이 훨씬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한전 등 3개 공공기관이 옮겨가는 광주의 경우 공시가격 상향 요구가 32%에 달하는 것을 비롯 대전(25.2%) 충남(20.7%) 등지도 다른 지역에 비해 집값을 올려달라는 비중이 높았다.
서울은 상향 요구가 7.7%에 그쳤고 부산 인천 울산이 각각 16.6%,전남 15.6% 등이었다.
중소형 다세대·연립주택(전용 50평 미만)의 경우 166만9086가구 가운데 0.46%인 7606가구만 이의를 신청해 단독주택(1.17%)보다 적었지만 공시가격 상향 요구 비율(20.7%)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광주(90%) 대전(64.13%) 인천(59.32%) 경북(50%) 강원(43.48%) 경기(40.82%) 등은 집값을 올려달라는 요구가 40%를 넘어 눈길을 끌었다.
서울은 상향 조정 요구가 14.5%(784가구)에 불과했다.
건교부 관계자는 "다세대·연립주택의 경우 재개발·재건축 때 더 많은 지분을 확보하거나 보상금을 많이 받기 위해 공시가격을 높이려는 집주인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