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鄭東泳) 통일장관은 지난달 17일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과 면담에서 북한에 "대규모 종합 에너지 지원방책을 위한 자금조달 지원"을 제안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정 장관과 김 위원장간 면담 내용에 대해 설명을 들은 미 정부 고위관계자"를 인용, 김 위원장이 7월중 6자회담 복귀 용의를 밝힌 데 대해 정 장관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정 장관은 그러나 대북 에너지 지원책에서 원자력 발전은 배제한다고 밝혔으며, 미 정부는 이같은 한국 정부 입장에 만족감을 나타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이와 관련,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중국 방문 비행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핵을 포기하더라도 원자력발전 에너지 지원은 받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북한이 알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북한의 과거 역사를 보면 원자력 발전엔 (핵) 확산 위험이 매우 크다"며 대북 에너지 지원 방안과 관련, "한국측이 몇가지 매우 유용한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기 때문에 이번 방한 길에 이에 관해 더 알아볼 것"이라고 밀했다. 미 국무부가 웹사이트에 공개한 라이스 장관의 기자회견 녹취록에 따르면, 라이스 장관은 "한국측의 지원 안외에, 현재 (6자회담) 테이블엔 6자회담 참여국들이 북한의 에너지 수요를 조사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무엇인지 검토한다는 안도 올라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정 장관의 대북 종합 에너지 지원책과 라이스 장관이 말한 "한국측의 몇가지 매우 유용한 생각"이 같은 것인지 분명히 말하지는 않았지만, 관련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그러나 이같은 대북 에너지 지원책이 정 장관이 김 위원장에게 전달한 한국정부의 '중대 제안'과 같은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