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성장동력이라 할 수 있는 25-49세 연령 층이 2007년에 가서 2082만명을 정점으로 점차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 발표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선 가장 왕성하게 일할 사람이 줄어든다는 것은 나라 전체의 생산능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는 점에서 우려할만한 일이다. 무엇보다 핵심 경제활동 인구가 앞으로 불과 2년 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는 것은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경제·사회적 문제가 발등의 불이 됐다는 증거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한마디로 성장동력 인구의 감소는 내수 부진 등으로 가뜩이나 취약해지고 있는 우리의 성장 잠재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 사실 성장동력 인구의 감소 문제는 이미 예고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여성의 출산 기피에다 결혼 연령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전체 인구가 줄어들고 노령화가 진행돼 온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며 우리만의 현상도 물론 아니다. 문제는 우리의 출산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떨어지면서 고령화가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03년의 가임 여성 한명당 평균 자녀 수는 1.19명으로,선진국의 1.6명에 못미치고 있을 뿐 아니라 20대 여성의 미혼율도 10년마다 10% 포인트 정도씩 상승해왔다. 이로 인해 2018년에 가서 65세 이상이 전체의 14%에 이르는 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될 전망이다. 이같은 고령화로 인한 성장동력 인구의 감소는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는 아킬레스 건이 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노동력의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다각도로 강구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우선은 조기퇴직 등으로 밀려나는 50-64세 연령 층을 생산 인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게 시급하다. 특히 임금피크제의 도입이나 노인 취업전담알선센터의 운영,고령 취업자에 대한 임금보조 등을 통해 이들이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장려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출산장려금 도입,조세감면,탁아서비스,출신휴직제도 강화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는 출산율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울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 비해 떨어지고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계속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