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2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북한이 핵을 포기할 경우 경수로 건설 지원사업을 종료하고 그 대신 우리 정부가 200만㎾의 전력을 북한에 직접 제공한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NSC가 끝난 뒤 이 같은 정부 방침을 발표하고 "4차 6자회담에서 (핵포기에 관한) 합의문이 발표된다면 그와 동시에 남북 간에 경기도 양주~평양 간 직접 송전시설 건설에 대한 회담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즉시 건설에 착수해 3년 이내인 2008년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대북 전력공급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다른 나라들도 그에 상응한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수로 건설사업은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에 따라 추진한 것으로,그간 한국이 투자한 비용만도 11억2000만달러가 넘어 기존 사업 및 신규지원 방식에 대한 논란이 예상된다.반면 이 같은 제안 등을 바탕으로 오는 27일께로 예정된 북핵 해결을 위한 제4차 6자회담이 열려 북한의 명확한 핵포기와 그에 상응하는 한·미·중·일의 지원 프로그램이 가시화되면 남북 간 긴장이 완화되고 한국의 대외신인도가 개선 될 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제4차 6자회담 재개와 관련,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이 7월 중 6자회담 복귀약속을 실천한 것을 평가하며 "앞으로 남북관계 신뢰형성에 귀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한편 미국은 우리의 중대제안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고 있지는 않지만 이를 양해하거나 묵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방한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한국을 떠나기 전 공식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높으며 그 내용은 그리 부정적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정부도 공식 논평을 내지 않았으나 외교가에선 그동안 우리 정부의 대북 비료지원이 남북한 관계 개선과 6자회담 분위기 조성에 유리하다고 지적해온 것을 감안할 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허원순·이심기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