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공급키로 한 전력량은 기술적으로 말하면 발전소에서 순간적으로 최대 200만kW의 전기를 발전해내는 양이다. 이 정도의 전력량은 제주도 전체가 피크 때 사용하는 소비량(50만kW)의 4배.남한 전체의 피크시 전력사용량(5100만kW)의 4%에 해당한다. 북한의 발전시설과 비교하면 수풍발전소가 최대 발전할 수 있는 발전용량(60만kW)의 3배를 웃도는 규모다. 북한에 보내는 전력이 우리 사용량의 4% 수준이라고 하면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게 그렇지 않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전력수요가 많은 여름철에 남한의 예비전력이 넉넉지 않다는 것. 사계절 북한에 남한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추가 발전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실제 남한의 총 전력생산량은 6110만kW,평균 전력사용량은 4500만~4800만kW로 예비전력률은 30% 수준이다. 그러나 여름철에는 예비전력과 그 비율이 700만kW,12%로 떨어진다. 때문에 예비전력률을 최소 10% 선은 유지해야 하는 한전으로서는 여름철에 북한에 공급할 전력이 충분치 않다고 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북한에 전력을 공급하려면 남한에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경우 모두 4조5000억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여기에는 △화력발전소 건설 2조원 △송전 및 변압설비 구축 1조5000억원 △연간 발전소 운영비용 1조원 등이 포함된다. 물론 발전소 운영비용 1조원은 매년 들어가는 비용이다. 정부는 당초 총 50억달러로 추산되는 북한 금호지구 경수로 건설에 총비용의 70%에 해당하는 35억달러를 분담하기로 했었다. 이 가운데 이미 11억2000만달러는 집행됐고 나머지 24억달러를 대북 전력공급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따라서 경수로 지원 사업보다 적어도 2배의 비용이 투입되는 셈이다. 한전은 김대중 정부 시절 구성한 태스크포스인 '남북전력협력실'을 지난해 말 정식 조직으로 발족시켰다. 이 조직을 통해 현재 북한 개성공단 시범단지 2만8000평에 1만5000kW의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남북한 사이에 2만2900V의 배전선로도 건설했다. 시범단지에 공급되는 이 전력은 여기에 입주했거나 입주할 기업 15개가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전은 개성공단 본단지 1단계 사업으로 100만평이 조성될 것에 대비해 오는 2007년 말까지 전력공급량을 10만kW로 확대할 예정이다. 대북 전력공급이 성사되면 남한의 독점 전력공급 기관인 한전의 재정부담은 늘어날 전망이다. 한전은 현재 개성공단에 공급하는 전력요금을 남한의 산업용에 준해 받고 있다. 개성공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전선로 건설 투자비는 당분간 회수 가능성이 별로 없는 실정이다. 결국 한전으로서는 남북교류협력기금으로 일정 정도 지원을 받더라도 본격적인 대북전력 공급 단계에 들어가면 발전소 건설,송·배전 선로건설 등의 투자비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