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은 13일 북한 금호지구 경수로와 관련, "향후 북한이 핵을 폐기하고 NPT(핵무기비확산조약)에 가입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받는 국면이 오면 국제사회의 협력을 바탕으로 남북간에 평화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200만kW의 전력을 북한에 직접 송전하는 `중대제안'과 관련한 금호지구 경수로의 미래에 대해 "(폐기보다는) 일단 동결이라는 표현이 맞을 것"이라고 이렇게 말했다. 그는 "1994년 제네바 합의에 의해 출발한 경수로는 우리가 비용의 70%를 부담했지만 발언권은 7%도 안됐다"면서 "이번 직접송전 방식은 우리가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이런 북핵 문제 해결 노력으로 일본, 러시아, 중국, 미국에게도 성의를 요구할 권리도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북 송전으로 북한의 전력 부문이 우리에 종속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남북간 신뢰를 바탕으로 추진되는 것이기에 함부로 끊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라며 "가까운 장래에 남북경제공동체 건설을 목표로 삼고 있는 만큼 길게 봐서는 통일시대를 대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prince@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