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상장 가시화되나..尹금감위원장 "신청하면 원칙따라 처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이 생명보험회사 상장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힘에 따라 한동안 잠잠했던 생보사 상장 문제가 다시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때마침 교보생명이 신주발행을 위한 정관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생보사 상장이 가시화될지가 주목된다.
윤 위원장은 지난 12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재무구조가 우량한 생보사 등이 상장되면 자본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며 "희망과 신청이 있으면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보험업계에선 종전에 비해 생보사들에 상당히 호의적인 발언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동안 상장의사를 적극적으로 피력해왔던 교보생명의 한 관계자는 "윤 위원장이 나름대로 전향적인 의견을 표시한 것 같다"고 말했다.
교보생명은 올해 중 상장 신청을 한다는 방침 아래 적잖은 준비를 해왔다.
분기별로 국내외 투자자를 대상으로 IR(기업설명회)를 실시해왔으며 신주발행에 관한 정관개정 작업도 진행 중이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대주주가 상장차익의 일부를 공익재단에 출연하는 것에 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며 "하지만 금융당국에서 먼저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급여력비율 제고를 위해 자본확충을 추진 중인 상태라서 수용할 만한 수준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되면 상장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자동차 부채 처리와 상장 문제가 맞물려 있는 삼성생명의 경우도 분위기와 여건만 조성되면 언제든지 상장을 신청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교보생명과 달리 상장차익 배분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게 삼성생명의 방침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법적 근거가 없는 상장이득 강제 배분은 전혀 검토할 수 없다"며 "일반 주식회사와 똑같은 규정이 적용된다면 3개월 이내에라도 상장을 신청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정황에 비춰 업계에선 올해 중 교보생명의 상장신청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그러나 공익재단 출연을 둘러싸고 시민단체의 의견이 워낙 완강해 쉽게 접점을 찾을지는 미지수다.
시민단체는 생보사들이 이익을 계약자에게 돌려주는 유배당상품을 판매하면서 성장해왔기 때문에 보험계약자도 상장차익을 나눠가져야 한다며 주식배분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성태 기자 steel@hanku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