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들이 투자 가이드라인을 스스로 정하는 자율규제안 마련을 검토 중이다. 미국 영국 독일 싱가포르 등 세계 각국이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수위를 높일 움직임을 보이자 헤지펀드들이 자구책 찾기에 나선 셈이다. 12일 독일판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주요 헤지펀드들로 구성된 대체투자운용협회(AIMA)는 실무팀을 구성,자율규제 방안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AIMA의 엠마 무그리지 이사는 "투자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논의가 공식화됐다"며 "세부 방안은 10월 중순께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대형 헤지펀드를 운영하는 씨티그룹 만그룹 가트모어 등이 자율규제안 마련에 찬성하는 입장이어서 앞으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AIMA는 내부자 거래와 시장 조작 혐의 등으로 영국에서 활동 중인 15~25개 헤지펀드를 조사 중인 영국금융감독청(FSA)의 조사결과 발표를 토대로 세부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영국 금융당국이 어떤 사안을 문제삼는지 지켜보고 대안을 내놓겠다는 의미다. 세계 각국은 고수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금융시장을 교란시킬 우려가 있는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미국은 지난해 헤지펀드의 신고의무를 강화했으며 독일도 헤지펀드의 투명성 강화를 목표로 규제방안을 마련 중이다. 김호영 기자 h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