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항이라지만 기실 조종사 출신별 담합을 통해 제몫 키우려는 싸움 아니냐" 17년째 아시아나항공 여객기에서 기내서비스 제공 및 안전 유지 업무를 맡고 있는 남자 승무원 A씨(41)는 20일 자사 조종사들의 파업에 대해 “해도 해도 너무한다”며 분노를 터뜨렸다. 그는 “대다수 승무원들은 이번 파업을 결국 ‘밥그릇 싸움’으로 평가절하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아시아나측에서 자체적으로 선발,미국 항공학교에서 교육시킨 조종사들이 승진에서 상대적으로 비행시간이 긴 군 출신 조종사들에게 밀리면서 무리한 파업이 강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항공학교 출신과 군 출신이 각각 '노사 합의로 승격(승진) 기준 마련''토익성적 기준 폐지' 등의 요구를 내걸고 공동파업 전선을 형성한 셈"이라고 꼬집었다. 남자 승무원 B씨(38)는 "곶감만 빼먹고 책임을 안 지겠다는 술수"라며 영어점수 폐지 요구의 문제점을 성토했다. 그는 "모든 승무원들이 입사 과정에서 토익성적이 반영되고 승진할 때도 630점 기준이 적용되는데 정작 영어가 중요한 조종사들이 영어성적을 내지 않겠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밝혔다. 조종사 파업으로 몇 시간째 대기 중이라는 여자승무원 C씨(31)는 "승무원들은 출산휴가도 무급으로 가는데,여성조종사들만 유급으로 해달라는 것이야말로 직업 차별"이라며 "음주테스트 역시 비행기 운항 전에 안 받으면 의미가 없는 것인데 받지 않겠다는 것은 너무나 이해가 안 간다"고 꼬집었다. 5년째 비행 중인 여자승무원 D씨(29)는 "우리(일반노조원)는 작년 성과급을 아직 못 받았는데,조종사들은 성과급 100%에다 80만원을 더 얹어 받았다"며 "집안 살림 때문에 가불하는 동료도 있다"고 분개했다. 그는 "9~10시간 걸리는 장거리 비행에서 승무원들은 기껏해야 1시간30분가량 비좁은 승무원 좌석에 앉을 수 있다"며 "이에 비해 운항 도중 기장과 부기장은 퍼스트 클래스(first class)에서 교대로 쉬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입사 3년차인 여자승무원 E씨(27)는 "기장은 한 급 높은 호텔방이나 스위트룸에서 쉴 수 있지만 입사 2년이 안 되는 승무원들은 2인1실에 머물러야 한다"며 불만을 털어놨다. 입사 6년차인 여자승무원 F씨(31)도 "일반 승무원들은 비행기 시동이 걸려야 근무시간으로 인정되는 데 반해 기장들은 집에서 출근하는 시간부터 근무로 봐야 한다는 이야기 아니냐"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노조 고위 관계자는 "토익성적 기준이 높아지면 미국 항공학교 출신 조종사들이 승진과정에서 군 출신보다 압도적으로 유리하게 된다"며 "승무원들의 주장에는 억지가 많다"고 반박했다. 김현예 기자 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