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분기에도 예상 웃도는 9.5% 성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이 올 2분기에 예상치를 웃도는 높은 성장률을 보임에 따라 위안화 조기 절상설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의 수출이 너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무역수지 흑자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내부에서도 이제 경기긴축을 위해서는 위안화 절상 카드를 꺼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분기 9.5%의 성장률은 올 중국 정부의 목표치인 8%를 훨씬 웃도는 것으로 투자억제를 골자로 한 그동안의 긴축대책이 전혀 먹혀들지 않았다는 것을 뜻해 중국 정부로서도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국제금융시장에서는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9월 방미 일정을 앞두고 중국 정부가 8월에 전격적으로 위안화를 절상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하고 있다.
◆조기 절상설 배경
중국 경제의 고성장을 주도하는 것은 수출이다. 올 상반기 중 수출은 32.7%나 급증했다. 이에 따라 상반기 중 무역수지 흑자는 이미 작년 전체 수준(320억달러)을 웃도는 396억달러로 불어났다. 중국의 수출은 위안화 환율이 미 달러에 고정돼있는 현행 환율시스템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수출급증과 무역수지 흑자 확대는 바로 위안화 절상 압력으로 이어진다. 조기 절상론이 다시 급부상하고 있는 것은 이 같은 배경에서다.
수출증가로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커지고 있는 것도 중국 당국이 위안화 카드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꼽힌다. 금리인상이 대안이 될 수 있지만,중국으로선 내수확대에 힘을 쏟고 있어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쑹궈칭(宋國靑) 베이징대 경제연구센터 교수는 "수출주도의 경제성장은 외부수요 변화에 취약해지는 잠재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지적했다. 2002년 51%에 달했던 중국 경제의 대외 무역의존도는 지난해 70%까지 올라갔다. 반면 미국과 일본의 경우 내수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각각 78%,85%나 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난 5월 노동절 이후 국제사회의 위안화 절상요구 강도가 수그러든 게 오히려 절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 최근 G8+5개국 정상회의나 미·중 연례 공동무역위원회에서 위안화 절상은 논의되지 않았다. 이들은 "중국 지도부가 이제까지 위안화 절상의 적정시기로 언급해 왔던 '예기치 못한 시점'은 지금처럼 대외 압력이 덜한 때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고성장 내용
중국은 수출 외에 고정투자가 2분기에 다시 증가세로 반전해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25.4%에 달했다.
1분기 증가율(22.8%)을 웃도는 것이어서 2분기 투자가 활발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부문별로는 석탄 개발 81.7%,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36.2%,전력 생산 35.9%,철로건설 48% 등 에너지와 물류 부문이 투자를 주도했다.
소비도 상반기에 13.2% 증가해 올해 목표치(12.5%)를 웃도는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반면 물가상승률은 4,5월 각각 1.8%에 그친 데 이어 6월에도 1.6%로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작년 물가상승률은 3.9%였다.
정징핑(鄭京平)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2분기와 상반기 9.5%의 성장률은 개혁개방 이후 27년간의 연평균 9.4%에 근접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당분간 중국경제가 고성장 기조를 계속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