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지방 이전으로 각 광역시ㆍ도에 1개씩 건설될 혁신도시의 입지 선정기준이 발표됐다. 혁신거점으로의 발전 가능성(50점), 도시개발의 적정성(25점), 그리고 동반성장 가능성(25점)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혁신도시 지역이 선정된다고 한다. 이로써 각 광역시ㆍ도별로 혁신도시 후보지 선정작업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지만 솔직히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이미 지역별로 혁신도시 유치경쟁은 가열돼 왔다. 일부 지역에서는 투기붐으로 지가가 크게 상승하는 등 부작용도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혁신도시 선정기준이 과연 제대로 고려(考慮)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정부는 이미 공공기관을 몇 개의 그룹으로 묶어 광역시ㆍ도별로 배분했다고 발표한 바 있지만 정작 뚜껑을 열었을 때는 무슨 기준으로 그렇게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당초 내세운 배치기준과 달리 서로 다른 성격의 기관들이 묶이는 등 정치적인 면이 고려된 흔적도 있었고, 또 공공기관의 효율성 측면이 무시된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런 일이 혁신도시 입지 선정에서 또다시 재연되지 말란 법이 없다. 지금의 상황을 보면 혁신도시 선정이 끝나도 탈락 지역의 부동산 거품 붕괴(崩壞)와 함께 지역간 분열 등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된다. 때문에 정치적 고려가 앞서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더욱 크다. 정부가 발표한 혁신도시 선정기준을 보면 혁신거점으로의 발전 가능성이라든지,도시개발의 적정성 등이 75%의 비중을 차지하지만 혹여 이것은 선언적 의미에 그치고, 대신 지역내 균형발전 등 25% 비중에 불과한 동반성장 가능성(형평성 항목)에 따라 지역이 선정되거나 경쟁지역 간 적당히 나눠먹는 식이 되고 말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미 그럴 조짐(兆朕)이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광역시의 경우 불가피하다면 복수의 혁신도시 건설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 경우 정부 지원은 단 1곳만 이뤄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정말 그러할지는 두고 볼 일이다. 또한 광역시는 복수의 혁신도시가 가능한데 도(道)는 왜 안되느냐는 얘기도 터져나올 수 있다. 혁신도시 선정 문제가 이렇게 흘러가다 보면 공공기관의 효율성은 더욱 기대하기 어렵고, 결국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아니함만 못한 꼴이 될 수 있다. 정부가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바로 그런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