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가 지난 3월 공석이 된 사장 후임을 두 차례에 걸친 공모를 통해서도 정하지 못해 사령탑이 없는 상태에서 장기 표류하고 있다. 대형 상장기업의 사령탑 부재가 이처럼 지속되는 것은 청와대의 원칙 없는 시스템인사 탓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는 최근 가스공사 사장추천위원회가 사장 후보로 올린 5명에 대해 '적임자가 없다'며 거부의사를 밝혔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청와대가 일부 후보의 경우 다른 공기업의 CEO로 임기가 남아있어 부적절하며 다른 후보는 경쟁업체 출신이어서 어울리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지난 5월 말에도 3명의 후보에 대해 모두 '퇴짜'를 놨다. 두 차례의 공모에는 전·현직 조폐공사 사장,중소기업청장,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가스안전공사 사장,송유관공사 사장,삼성SDI 및 E1(옛 LG가스)의 고위임원 등 거물급들이 후보로 추천됐다. 가스공사 안팎에선 청와대의 인사원칙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한 관계자는 "정치권 출신인 이철 전 국회의원은 철도공사 사장으로 문제 없고 에너지관련기업 사장 또는 임원 출신은 가스공사 사장으로 부적절하다면 설득력이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가스공사 노조는 이와 별도로 '산자부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노조는 1,2차 공모 과정에서 산자부 출신 관료들의 후보출마를 독려하고,구색맞추기를 위해 관심 없는 후보를 들러리로 출마케 하는 등 산자부의 개입이 도를 넘어 지금의 사태가 빚어졌다고 비난했다. 한편 가스공사는 3차 사장 공모를 진행할 경우 이사회 소집,모집공고,심사,임시주총 공고,임시주총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해 아무리 빨라도 10월 중순이나 돼야 사장 선임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말 오강현 사장의 해임으로 촉발된 최고경영자 공백이 최소한 6개월반에 이를 것이란 얘기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