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정년 퇴직자를 재고용하는 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다. 내년 4월 예정된 고령자 고용안정법 시행과 단카이(덩어리,베이비붐을 지칭) 세대의 정년 퇴직에 따른 인력 부족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도요타자동차는 그동안 생산공장의 일부 기능직 사원에만 적용해 왔던 정년 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내년 4월부터 전 사원으로 확대하기로 확정했다고 지난 30일 밝혔다. 희망 사원 전원에게 재고용이 보장되지는 않으며,회사측이 건강 상태 및 능력 등을 평가해 채용 여부를 결정한다. 도요타 직원은 6만5000명으로 현재 연간 180여명을 재고용하고 있다. 단카이세대 퇴직이 본격화되는 2008년부터는 매년 2000명 이상이 퇴직하게 돼 재고용자 수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도요타 관계자는 "노동력 부족 현상에 대처하고 숙련된 기능을 젊은 세대에 전수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닛산,혼다 등 여타 자동차 업체도 올 들어 잇따라 재고용 제도를 도입했다. 닛산은 지난 4월 재고용자 연령 상한선을 63세에서 65세로 높여 대상 인원을 확대했다. 또 도시바 히타치 미쓰비시전기 소니 등 전기전자업체들은 대상 직종을 확대하고 연령대를 높여 재고용 제도가 업계에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다. 일본에서 내년 4월부터 고령자 고용안정법이 시행되면 기업들은 직원들이 65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따라 주요 대기업은 △65세로 정년 연장 △재고용제 도입 △정년제 폐지 등의 대응책을 준비 중이다. 도쿄=최인한 특파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