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휴가 떠난 노대통령‥ '제2 폭탄발언' 구상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정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집념이 매우 강하다. 연정 제안의 강도가 더욱 높아지고 내용도 구체화되고 있다. 정치권에 던지는 메시지와 사회적 공론화를 유도하는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여권핵심의 내부 논의-당원 서신-국민 서신-기자간담회를 거치며 한나라당과의 대연정 '중간 목표점'이 정해졌고 국정운영의 무게도 대연정으로 급격히 기울고 있다.
앞으로 어떤 제안을 추가로 던질 것인가. 또 전략적인 추가 복안은 무엇인가. 노 대통령은 여름 정국에 '초대형 폭탄'을 던진 채 31일 현재 지방에서 휴가 중이다. 청와대 참모진은 연정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조심하는 분위기다.
노 대통령은 이번 여름휴가 구상과 8·15 광복절 등을 거치면서 한층 더 구체적인 제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지난달 29일 기자간담회 직후에 나온 청와대의 분석자료는 이 점에서 주목된다.
비서실은 간담회 직후 '세계 각국의 대연정 사례'와 '프랑스의 정치구조(이원집정부제) 개관'에 대한 A4용지 17장 분량의 분석자료를 냈다. 이와 관련,여권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의 연정 구상을 이론적 실무적 법률적으로 지원하는 비공식 조언 그룹이 있다"고 말했다.
다음 제안은 무엇일까. 한나라당을 비롯한 정치권의 반응이 1차 관건이겠지만 점차 더 구체성을 띨 가능성이 크다. 여지가 없어 보이던 한나라당 일각에서도 미세균열이 엿보인다는 점을 청와대는 주목한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노 대통령이 앞서 '내각제 수준'으로 권한을 이양하겠다고 한 대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북핵문제나 외교·안보·국방은 직접 챙기고 부동산정책 등 경제와 교육·노사·사회정책 등의 정책부문을 지목,권력분배를 하겠다는 제안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기자간담회에서도 노 대통령은 "주요한 정책을 봤는데,지금 부동산은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같이 가고,교육은 토론해서 가면 되고,국가보안법 문제는 한자리에서 진지하게 대화하면 오히려 지금보다 답이 쉽게 나온다"고 말했다. 총리지명권에다 몇몇 부처를 찍어 장관직을 넘기는 제안이 나올 수 있다.
정치권에서 논의 정도에 따라 국민투표나 그와 유사한 형식으로 국민들에게 진의를 묻겠다고 나설 가능성도 배제키 어렵다.
이 역시 논란은 예상되지만 어떤 식으로든 남은 임기의 진퇴를 걸거나 간접적으로라도 연계시키는 신임묻기식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여야를 넘나들며 의원들과 연쇄 접촉을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