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에 산업자원부가 연탄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다. 고유가 탓에 연탄 소비가 급증하면서 정부 보조금이 가파르게 늘고 있어서다. 산자부는 연탄 소비자가격을 인상하고 정부 보조금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청와대와 여당이 서민생활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1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연탄소비는 지난해 4분기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데 이어 올 들어서도 1월∼5월 중 57%나 늘어났다. 올 들어 연탄 소비 증가율을 보면 1월 59.7%,2월 50.9%,3월 67.7%,4월 55.5%,5월 43.2% 등에 이르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치솟으면서 석유 가스 등의 가격은 급등했지만 연탄 가격은 지난 2002년 이후 동결돼 왔다"며 "서민층이 저렴한 난방 원료로 연탄을 더 찾고 있는데다 식당이나 다방 등의 업소나 화훼농가 등도 연탄으로 난방을 대체하고 있어 연탄 소비가 크게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연탄 소비가 늘어날수록 정부 보조금도 증가한다는 것.현재 연탄 한 장의 생산가격은 약간의 마진을 포함해 655원 수준이다. 정부는 장당 355원의 보조금을 연탄 생산업자에게 지급하고 있으며 덕분에 소비자들은 300원에 연탄 한 장을 구입할 수 있다. 산자부는 올 들어 연탄소비가 50% 이상 급증함에 따라 보조금이 당초 책정한 수준보다 1000억원 이상 늘어난 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