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다수는 부동산 문제와 소유 편중현상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말 리서치 앤 리서치에 의뢰,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부동산 문제가 심각하다는 응답은 87%에 달해 심각하지 않다고 보는 시각(9%)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일부 계층이 부동산을 편중소유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는 답변이 92.2%,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가 6.9%였다.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한 공공부문 역할 확대에 찬성한다는 사람은 81.6%, 반대는 14.5%였으며 정부의 부동산 대책 강도에 대해서는 약하다는 응답이 68.4%로 높아 불만족이 컸다. 현재 당정이 추진중인 정책 대안과 관련해서는 지역간 주거수준 격차해소가 28.2%, 주택공급 확대 24.7%, 투기억제를 위한 세제강화 24.1% 등으로 비슷했고 다주택자 과세 강화에는 76.5%가 동의했다. 1가구 2주택 보유자의 은행 담보대출 제한에는 74.7%, 부동산 개발이익의 공익적 사용에는 85.7%가 찬성을 표했다. 그러나 9억원으로 책정된 고가주택 과세 기준에는 높다는 의견(43.9%)과 낮다는 견해(41.3%)가 별로 차이가 없었다. 향후 집값 전망과 관련해서는 `지금보다는 오를 것'이라는 답변이 50.5%로, 지금 수준을 유지하거나 낮아질 것이라는 응답(43.6%)보다 높았지만 수도권에서는 `오른다'가 44.4%, `현수준 유지 또는 하락'가 50.3%로 결과가 달랐다. 바람직한 정책수립과정에 대해 여론수렴을 거친 사회적 합의로 하자는 의견이 68.5%, 정부가 책임지고 독자적으로 하자가 15.8%, 여야 합의통해 확정해야 한다가 11.9%였다. 이번 여론조사는 전화조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은 ±3.1%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기자 y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