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곽 잡히는 판교] 단기적 분양가 인하 효과..전문가 반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 전문가들은 최근 정부가 골격을 잡아가고 있는 판교신도시 개발방향에 대해 단기적인 분양가 인하효과는 있지만,장기적 집값 안정에는 효과가 적을 것으로 분석했다.
우선 판교 중대형 평형의 공급 규모를 10% 정도 늘리는 것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곽창석 부동산퍼스트 이사는 "'뜨거운 감자'인 판교신도시 개발에서 발생하는 시세차익을 정부가 환수한 다음 새로운 주택 공급 재원으로 사용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면서 "원가연동제 도입으로 분양가가 일시적으로 낮아지더라도 채권입찰제가 도입되기 때문에 집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학권 세중코리아 대표는 "공영개발 확대가 신규 분양 시장의 가격 안정에는 어느 정도 기여할 것"이라며 "하지만 판교의 상징성을 고려할 때 이 정도 대책으로는 이미 오를 대로 오른 강남과 분당의 집값을 끌어내리기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황용천 해밀컨설팅 대표는 "분양가를 낮추기 위해 채권입찰제를 도입하더라도 시장에서 곧바로 할인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격 인하 효과가 거의 없다"면서 "오히려 분양계약자가 채권상한액에다 일정 금액의 시세차익을 보장받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채권입찰제 도입으로 무주택자들의 판교 입성은 더욱 어려워졌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고종완 RE멤버스 대표는 "장기적으로 아파트 품질 저하와 공급 부족 문제점이 부각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재테크팀장은 "정부가 궁극적으로 수요가 많은 중대형 평형 위주로 주택 공급을 크게 확대하지 않으면 집값 안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