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도청 X파일] "DJ, 보고 받은바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대중 전 대통령(DJ)은 재임 당시 국가안전기획부의 명칭을 국가정보원으로 바꿔 개혁을 시도하며 '자기 사람'을 앉혔지만 불법 도·감청의 고리를 끊지 못했다.
국민의 정부 당시 첫 정보기관 수장은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을 지낸 이종찬씨였다.
중앙정보부에 근무한 적이 있는 이 전 원장은 98년3월 안기부장에 임명된 뒤 99년 1월 안기부가 국가정보원으로 명칭을 바꾼 뒤에도 한동안 원장직을 유지했다.
이 전 원장은 개혁을 명분으로 대대적인 숙정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X파일' 파문과 관련된 공운영씨 등도 이때 안기부를 떠났다.
열린우리당 이강래 의원은 첫 안기부 기조실장을 맡아 이 전 원장과 호흡을 맞췄다.
이후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있던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이 이 의원과 바통을 교환하며 안기부 기조실장을 지냈다.
또 DJ정부 마지막 국정원장을 지낸 신건씨는 당시 국내담당 안기부 1차장을,현재 주일대사로 있는 라종일씨는 당시 해외·북한담당 차장을 지냈다.
DJ정부 시절 한 관계자는 "당시 국정원의 핵심은 이종찬 문희상 이강래 라종일라인"이라면서 "일부는 떠난 뒤에도 사적으로 국정원 라인의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당혹스러워하면서 한결같이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교동의 최경환 공보담당 비서관은 보도자료를 통해 "국민의 정부에서 불법감청이 있었다는 국정원의 발표에 대해 놀라움을 금할 수 없고,도저히 믿을 수 없다"며 "(김 전 대통령은) 어떤 불법행위도 보고받은 바 없다"고 강조했다.
국민의 정부 시절 국정원장을 지낸 임동원 세종재단 이사장은 "원장 시절 불법감청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받은 바 없다"며 "국민의 정부에서 불법감청이 있었다는 발표를 믿을 수 없다"고 밝혔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