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사장된 1100억짜리 노선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항공 임직원들은 요즘 걱정이 많다.
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 행진을 벌이는 유가로 인해 비상이 걸린 데다 노사관계도 살얼음판을 걷고 있어서다.
대한항공 조종사노조는 아시아나항공 파업에 대해 긴급조정이 발동되면 민주노총의 연대파업 투쟁에 동참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이 같은 악재보다 더 극복하기 힘든 문제가 건설교통부의 태도다.
많은 간부들은 "건교부가 합리적인 이유 없이 한~터키 노선권 배분을 늦추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건교부는 지난 3일 복수항공사 취항을 핵심 의제로 터키 항공당국과 협상에 나섰다.
건교부는 별다른 성과 없이 하루 만에 협상을 마쳤다.
대한항공은 그간 "복수취항 협상이 관철되면 공평해진다"는 건교부의 말만 믿고 불만을 참아왔다.
당초 한~터키 노선권은 1997년 아시아나항공에 배분됐다.
1998년 하반기 아시아나측이 운항을 중단한 뒤 2003년 10월 건교부로 귀속됐다.
이후 대한항공은 정식 취항 의사를 밝히고 5차례에 걸쳐 노선 배분을 요청했다.
하지만 건교부는 지난 2년간 어떤 국적 항공사에도 정식 취항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한항공은 여행객을 나르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주 3회 전세기를 띄우고 있다.
정식 취항하지 않아 불리한 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터키 현지에서 비행기표를 팔 수 없고 전세기를 보내려면 매달 허가를 받아야 한다.
중장기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은 꿈도 꿀 수 없는 형편이다.
물론 건교부는 이용객 불편은 전혀 없으며 대한항공이 노선 독점욕에 사로잡혀 있다고 지적한다.
노선권 배분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만큼 공정성 확보도 어렵다.
그러나 노선권이 국익과 연결될 경우 상황은 달라진다.
터키항공은 한국 여행객을 유치하기 위해 광고를 내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건교부는 "국가 자산인 노선권이 이유 없이 사장되면서 외화 손실 375억원,기회수입 손실 722억원 등 무려 1100억원의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는 주장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관우 사회부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