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부터 전자제품에 대해 유럽연합(EU)의 환경 규제가 대폭 강화됨에 따라 관련 업체에 비상이 걸렸다. 비즈니스위크 인터넷판은 내년 7월부터 25개 EU 회원국에서 전자제품에 수은이나 납,카드뮴 등 독성물질을 일정 기준치 이상 포함하지 못하도록 한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RoHS)'이 시행되지만 중소 전자업체들은 이에 제대로 대비하지 않고 있다고 10일 보도했다. 소니와 IBM,노키아,인텔 등 대형 정보기술(IT) 업체들은 수년 전부터 이 지침 시행에 대비해왔으나 부품을 공급하는 중소기업들이 제대로 준비를 하지 않아 수입 제한 조치를 당할 가능성도 있다. 친환경 소재나 부품은 납 등이 들어간 기존 제품보다 최고 5배나 비싼데다 공정·설비를 바꿔야 하는 경우도 많아 상당수 중소 업체들이 비용 부담으로 투자를 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조사 기관인 테크놀로지 포케스터스는 중소 전자부품 업체의 60%가 RoHS 기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지침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한 기업들도 많다고 전했다. 특히 이 기관은 내년 7월까지 33%의 중소기업들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 세계 전자업체들은 RoHS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수백억달러를 투자해야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 유럽 조사기관은 이 지침을 준수하기 위한 유럽 전자업체들의 투자비 부담이 총 19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