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북핵 6자회담에서 최대쟁점으로 부각된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 권리,특히 경수로의 인정을 둘러싸고 한국과 미국간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이달말 6자 회담 재개 이전에 양국이 이 문제에 대한 이견을 어떻게 조율해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당연한 권리 vs 미,용납 못해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1일 다음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일반적 권리로서 경수로는 북이 마땅히 가져야 한다"며 "그런 면에서 미국과 우리는 생각이 다르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조태용 외교통상부 북핵외교기획단장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며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 복귀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를 준수하면 평화적 핵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6자 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10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은 경수로를 포함해 핵의 평화적 이용권을 주장하지 말고 기존의 모든 핵 프로그램 해체에 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6자회담의 초점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해체와 NPT 복귀,경제 및 에너지 이슈에 있으며 평화적 핵 이용권은 잘못된 의제"라고 못박았다.


◆이견조율 가능한가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다음주 중 미국을 방문,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이 문제를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북이 NPT에 복귀하고 IAEA의 사찰을 받으면 NPT 회원국으로서의 당연한 권리를 향유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며 "미국도 이 자체를 부인하지는 않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북한이 핵 사찰과 폐기를 거쳐 현존하는 모든 핵 프로그램을 검증가능한 방법을 통해 완전히 포기할 경우 장기적 관점에서 평화적 핵 이용권리를 갖는 것을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 장관은 12일 중국 베이징에서 리자오싱 외교부장과 만나 6자회담의 실질적인 타결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동영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장 겸 통일부장관과 권진호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도 6자회담 후속협의를 위해 다음주 중 러시아와 일본을 각각 방문한다.


워싱턴=하영춘 특파원·이심기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