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60주년을 앞두고 한국인 위안부 2명의 위패가 일본의 A급 전범들의 위패가 있는 야스쿠니(靖國) 신사에 합사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가해자들과 피해자들의 위패를 한 곳에 둘 수 없다며 한국인 위패의 분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진상 규명위원회는 12일 인도네시아 등에 주둔했던 일본 남방군 제7방면군의 인사대장인 유수명부에서 위안부로 드러난 2명의 한국인 여성의 위패가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돼 있다는 사실을 최근 확인했다고 밝혔다.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한국인 여성 2명은 1946년 1월에 사망한 경북 출신의 권모(당시 25세)씨와 1945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충남 출신의 한모(당시 24세)씨로 태평양전쟁 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 간호부로 일하다 일본 군속으로 기재돼 합사된것으로 보인다. 두 여성의 손톱과 머리카락은 1974년 911위의 유골이 일본에서 국내로 봉환될 때 돌와왔지만 유골의 존재는 최근까지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 이 위원회 관계자는 "일본 제7방면군의 문서중 위안부를 간호사로 활용하라고 지시한 문서가 있다"면서 "이들은 위안부로 끌려갔다가 간호사 등 군속으로 명부에 기록돼 합사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제7방면 유수명부에는 모두 300여명의 여성이 등록돼 있는데 하급 군속과 간호부 등 군속으로 기재된 이들 중 20명이 위안부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한편 야스쿠니 신사에는 도조 히데키 당시 총리 등 A급 전범 14명의 위패 등 246만6천532명의 전몰자가 합사돼 있는데 이 가운데 한국인은 2만1천18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국내 시민단체들은 가해자와 이들에 의해 희생된 피해자가 함께 있을 수 없다며 합사된 한국인 위패의 분사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나 일본측에서는 아직까지 이렇다할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jae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