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이자 세계 2차대전 종전 60주년 기념일인 15일 중국 해커들이 한국인터넷주소(IP)를 이용해 일본에 수천만건의 사이버공격을 감행할 예정이어서 대규모 피해가 우려된다. 중국 해커들이 한국을 경유지로 이용하면 일본해커와 네티즌들은 한국해커가 공격해온 것으로 오해,융단폭격식 보복공격으로 관련 주소지 사이트와 컴퓨터를 다운시킬 수 있다. 또 중국해커들이 공습과정에서 대학 기업 등의 IP에 악성 바이러스와 신종·변종 악성코드를 낙진처럼 뿌려놓고 갈 수도 있어 시스템 오작동과 운영지연 등의 큰 문제를 낳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통부와 보안업체 관련 업계는 비상감시체제에 들어갔다. 정통부는 KT 등 초고속인터넷 업체와 301개 대학에 협조공문을 보내 통신시스템 재점검 등을 포함한 인터넷 보안 강화를 요청했다. 특히 KT는 '중·일 사이버전 예방 및 대응계획서'까지 마련했다. 국내 주요 보안업체들은 기업 대학 연구원 등의 전산운영자용 보안수칙 10계명과 개인사용자용 수칙 5계명을 제작,온라인을 통해 배포했다. 보안회사들은 사이버 테러가 15일 당일과 그 이후까지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방화벽 프로그램과 백신을 설치할 것과 사용하지 않는 서버를 분리해놓을 것 등을 당부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