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개발 활동이 '연구를 위한 연구'에만 치중해 돈을 벌어들이는 데에는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개발에 투입하는 자금이나 인력 논문발표,특허 등의 증가 속도는 1등 수준이나 실제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에는 꼴찌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문혜선 박사팀이 1988년부터 최근까지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영국 등 5개 선진국과 한국의 연구개발 역량과 경제적 성과들을 비교한 결과 똑같은 비용을 투입하더라도 한국은 선진국 평균의 60%,미국의 54%의 경제적 성과만 얻고 있다고 밝혔다. 문 박사는 한국의 경우 연구개발 인력이나 자금 등 연구개발 투입 지수에 대한 연평균 성장률이 17.6%로 비교대상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특허나 과학기술논문 등 연구개발 산출지수도 연평균 10% 이상 성장해 왔다고 설명했다. 문 박사는 그러나 지식기반산업의 부가가치 등으로 계산되는 경제적인 성과 지수는 평균 7.4% 성장에 그쳐 연구개발 투입지수에 비해 성장세가 10%나 차이가 난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로 인해 선진국은 연구개발 비용을 1% 증가시켰을 때 경제적 성과가 0.52% 증가하는 반면 한국은 평균 0.37%에 그쳤다고 밝혔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