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등 공기업들이 가격통제 등 '정부 규제'로 주가에 발목을 잡히고 있다. 17일 한국전력은 4.95% 폭락한 3만36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전날 발표한 2분기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요금인상이 유보된 점이 악재로 작용했다. 전날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은 "유가 상승으로 요금 인상요인이 있지만 국민경제 전반을 위해 인상을 유보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점이 반영되면서 한전의 투자의견이 속속 낮아졌다. 신지윤 대우증권 연구원은 "현재 한전의 주가에 전기요금 인상 기대가 반영돼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요금체계의 변경이 기약 없이 미뤄진 상태"라며 한전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도 4만2500원에서 3만8000원으로 내렸다. 그러나 요금인상 유보에도 불구하고 한전의 투자매력이 여전하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이창목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한전의 투자포인트는 수익성이 구조적으로 개선되고 이로 인해 배당지급 능력이 향상된다는 점"이라며 "요금을 올리지 않는다고 해서 투자의견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한국가스공사도 정부 규제로 주가가 맥을 못 추는 종목 중 하나다. 정부가 지난 5월 하순 가스요금 산정때 한국가스공사의 해외가스전 지분투자에서 나오는 배당금 수입을 투자보수율(적정이윤) 산정에 포함,가스요금 인하를 유도하자 애널리스트의 투자의견 하향 조정이 잇따르면서 주가가 급락하기도 했다. 이 같은 정부규제를 놓고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공기업에 대한 정부의 가격 통제 등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장기투자해도 좋은지 의구심이 생기곤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또 다른 관계자는 "한전과 가스공사는 정부가 독과점을 보장하고 가격통제를 하는 대신 부도 가능성이 사실상 제로에 가깝고 배당금도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배당수익률 등을 감안할 때 투자 매력은 훼손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상열 기자 mustaf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