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은 달러가치 폭락 등 세계금융 불안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공통화폐 창설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한·중·일 3국은 또한 막대한 외환보유액으로 미국 국채 매입에 치중하기보다는 지역 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금융위기 재발을 막을 것이란 지적도 제기됐다. 최공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과 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1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중·일 3국의 환율협력을 위한 국제 세미나'에서 '동아시아 환율체제에 대한 구상'이란 주제발표문을 통해 "동아시아 3국은 공통지역화폐인 ACU(Asian Currency Unit)를 만들어 ACU표시 채권을 발행·유통시키면 달러자산 편중 현상을 점차 해소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두 연구위원은 "동아시아 3국은 경제사정과 환율제도가 상이해 EU(유럽연합)와 같은 공통의 환율체제로 가기 위해선 사전에 여건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단기간에 충족시킬 수 있는 첫 단계가 공통화폐 창설"이라고 강조했다. 두 연구위원은 한·중·일 3국이 과도한 외환보유액을 공동으로 출자해 아시아 공동펀드를 만들고,이를 기반으로 ACU를 만드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배리 아이젠그린 UC버클리대 교수는 이와 관련,3국이 역내 공동통화와 함께 각국의 통화를 동시에 통용하는 병행통화 제도를 검토해 볼만하다고 제안했다. 아이젠그린 교수는 "병행통화 제도를 운용하면 각국이 자국의 통화주권을 양도하지 않고도 통화통합 과정을 진행시켜 나갈 수 있으므로 시도해 볼만하다"고 설명했다. 위용딩 중국 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장도 한·중·일 3국의 지나친 미국 국채 매입을 경계했다. 위 소장은 "3국이 엄청난 외환보유액으로 수익률이 낮고 위험한 미국 재무부 채권(TB)을 매입하기보다는 자국 내,그리고 지역 내 효과적 사용방안을 심도있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마사루 요시토미 일본 경제산업연구소장은 "동아시아 3국의 환율공조 체제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역내 사무국 설립을 검토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 세미나에는 정덕구 열린우리당 의원,어윤대 고려대총장,민상기 서울대 교수,마사히로 가와이 도쿄대 교수,김인철 성균관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권태균 재정경제부 국장,주광야오 중국 재정부 국제국장,기요토 이도 일본 재무성 국제국장 등 한·중·일 3국의 국제금융국장들은 환율협력을 위한 비공개 정책회의를 가졌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