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선 '경제회복'으로 표심잡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 정치권은 9·11 총선을 앞두고 재정 건전화와 경기 활성화 대책 등을 골자로 한 선거 공약을 잇따라 발표하는 등 유권자 공략에 나섰다.
대다수 입후보자는 당선 후 외교 안보보다 경제 정책에 우선 순위를 두겠다고 강조,'경제 살리기'가 총선의 최대 이슈로 부각하고 있다.
자민당은 총선을 '우정 민영화' 찬반 선거로 몰아가고 있다.
우정 민영화가 성공해야 경제구조 개혁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논리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인구 감소와 고령화 시대를 맞아 사회 보장비 삭감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조세 부담 경감을 위한 구조 개혁이 시급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제1 야당인 민주당은 연금제도,재정개혁,경제활성화 대책 등을 이슈화하고 있다.
특히 국민들이 연금 제도에 관심이 높다고 판단,2008년까지 연금 제도를 전면 개편한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여야는 재정 건전화 방안을 놓고 격돌하고 있다.
자민당은 2010년대 초반까지 재정수지 흑자를 공약으로 발표했으며,민주당은 향후 3년간 세출을 10조엔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주요 정당은 경기 활성화 대책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각당 입후보자들은 당선 후 최우선 과제로 무엇보다 '경제 살리기'를 꼽았다.
23일 교도통신이 입후보 예정자 6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선거 후 최우선 과제로 '연금·의료 등 사회보장 개혁'을 꼽은 후보가 87.5%(복수 응답)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기 활성화 대책 60.9%,재정 건전화 33.7%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후보들이 외교 안보 등 정치 이슈보다 경제 회복에 훨씬 더 관심을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회 해산까지 몰고온 우정민영화에 대해서는 연립 여당인 자민과 공명당 후보들은 전원 찬성한 반면 민주당 소속은 81.1%가 반대했다.
도쿄=최인한 특파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