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열린우리당이 중·대형 아파트 공급 확대를 위해 추진키로 한 서울 강남 인근 200만평 규모의 신규 택지가 어디냐에 뜨거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후보지 중 1곳은 규모가 100만평 안팎에 이르는 사실상의 '신도시'급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당정은 지난 24일 7차 협의회에서 개발 가능한 후보지 리스트를 놓고 구체적인 검토까지 마친 것으로 알려졌지만 오는 31일 종합대책 발표 때까지 대상지를 공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입지가 공개되면) 아마 무릎을 칠 것"이라며 의외의 제3후보지일 가능성을 시사해 궁금증을 더하고 있다. 열린우리당 채수찬 의원도 브리핑에서 "이미 장소는 확정됐다고 보면 된다. 강남의 중·대형 수요를 대체하는 게 주요 목적"이라고 말했다. 건설교통부도 "국·공유지 중 일부는 개발에 큰 걸림돌이 없는 것으로 조사돼 빠르면 내년께 지구 지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100만평 국·공유지 어디일까 정치권 등에서 흘러나온 얘기를 종합해 보면 △100% 국·공유지로 △서울 강남과 가까운 곳이며 △한 곳은 100만평 안팎의 신도시급 △나머지는 20만~30만평 규모의 중·소형 택지 3~4곳 안팎인 것으로 요약된다. 최대 관심은 100만평짜리 신도시가 들어설 국·공유지의 위치다. 서울 강남권 인근서 이 만한 규모의 땅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재경부가 직접 관리하는 국유지도 대부분 작은 규모의 잡종지로 파악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결국 국방부 소유의 군부대로 관심이 모아질 수밖에 없다. 서울 송파구 장지동 남성대골프장(24만평)과 특전사 터(58만평) 일대가 유력 후보지로 꾸준히 거론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린벨트 조정가능지도 주목 이러다 보니 그린벨트나 지자체 보유 토지(공유지)가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린벨트의 경우 올해 말 확정될 수도권 광역도시기본계획상 조정가능지로 결정하면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강남구 세곡·자곡동,서초구 우면동 일대나 성남 하남 등의 그린벨트를 풀어 대규모 택지를 개발할 가능성도 있다. 경기도 의왕에 있는 서울구치소를 옮기고 바로 옆에 있는 포일지구(16만평) 청계지구(10만2000평)와 연계 개발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만한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한국마사회 소유의 과천 경마장(35만평)과 과천 문원·갈현동 일대 지식정보타운 예정지(50만평)도 강남과 가깝고 도로 학교 등 기반 시설이 잘 갖춰져 후보지로 손색이 없지만 경기도와 과천시가 완강히 반대하고 있다. 서울에서 멀기는 하지만 수원 축산연구소(33만평)나 작물과학원(27만평) 등도 거론 대상에 포함돼 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