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1대책' 발표를 앞두고 정부 각 부처가 내놓고 있는 부동산 관련 통계가 제 각각이어서 신뢰를 잃고 있다. 특히 다주택자에 대한 통계가 크게 달라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지난 29일 '다주택자 주택 보유 현황'을 공개하고 △2주택 이상 보유자는 88만7180세대 △3주택 이상 보유자는 16만5126세대라고 발표했다. 여기서 '세대'는 주민등록표상의 세대 개념이다. 반면 국세청이 지난 6월 발표한 다주택자 주택 보유 현황에 따르면 3주택 이상 보유자는 18만874세대다. 이는 행자부가 발표한 3주택 이상 보유자보다 무려 1만5748세대나 많은 수치다. 특히 국세청이 사용한 '세대' 개념은 세대 구성원 중 '자녀'를 제외한 것인 데다,세대를 달리하고 있는 부부를 '한 세대'로 간주한 것이어서 행자부가 발표한 3주택자와의 차이는 더욱 늘어난다. 더욱이 이주성 국세청장은 지난 17일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에 출석해 "양도소득세 중과를 검토 중인 '1가구 2주택'이 전국적으로 158만가구(세대)에 달한다"고 답변했다. 이 수치는 행자부가 발표한 2주택자(72만254세대)는 물론 2주택 이상자(88만7180세대)와도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1가구 2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다주택자의 실제 현황은 정부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적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이 실효를 거두려면 무엇보다 기초자료인 통계가 정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