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을 잘 섬겨야 후손이 복을 받는다는 생각은 마치 민간신앙처럼 아직도 우리 생활 속에 남아 있다. 제사를 지내고 성묘하는 일 등이 그것이다. 주술적 기복(祈福)의 효(孝)사상인 셈이다. 특히 자손들이 이름을 떨치고 큰 재산을 모으는 것은 조상의 묘를 얼마나 정성스레 모시는 가에 달려있다고 믿었던 까닭에 추석 성묘를 앞둔 벌초(伐草)는 집안의 중요한 행사였다. 잡초를 뽑고 잔디를 깎는 벌초는 처서부터 시작돼 이슬이 내리고 가을기운이 완연해지는 백로 무렵에 절정을 이룬다. 요즘이 그 시기여서 주말이면 낫과 예초기를 들고 시골을 찾는 사람들로 고속도로가 붐빈다. 조상의 묘를 방치한다는 것은 곧 불효자로 치부되는 것이어서 가능한 손수 벌초를 하려 애쓰는 모습이 역력하다. 그러나 벌초하기가 말같이 그리 쉽지 않다. 고향을 떠나온 지 오래인데다 시간을 내기가 여의치 않아서인데,이를 벌초대행으로 해결하고 있다고 한다. 민간 전문업체들이 성업중인가 하면 시ㆍ군 지역의 산림조합과 농협에서는 실비만을 받고 가까운 거리의 벌초를 대행하고 있기도 하다. 조상의 묘를 모시는 것은 비단 벌초만이 아니다. 사초(莎草)라 해서 훼손된 묘지에 잔디를 입히는가 하면, 성묘는 말할 것도 없고 '소분'(掃墳)이라 해서 경사스런 일이 있을 때 그 사연을 고하고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매장이란 장묘문화에서 벌어지는 풍습들이다. 매장을 고집하던 인식이 달라지면서 이러한 풍습들도 해가 갈수록 시들해지고 있다. 화장률이 높아지면서 납골당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게 주된 요인이다. 화장 후 유골을 나무뿌리에 안치하자는 '수목장'(樹木葬) 운동도 앞으로 매장문화를 바꿔 놓을 것 같다. 수목장은 환경론자들이 주장하는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일종의 자연장 캠페인으로 유럽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장묘문화가 어떻게 바뀌든 조상을 받드는 일만은 소중하게 지속돼야 할 것이다. 더욱이 도덕과 윤리가 무시되고 있는 현실이어서인지 벌초를 하는 정성 하나도 의미있게 느껴진다. 박영배 논설위원 young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