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t의 철을 만들려면 2t가량의 철광석과 코크스가 필요해요. 그런데 고철은 전기로에 녹이면 99% 이상 철이 만들어지니까 40번도 넘게 재활용 된답니다. 우리 친구들 소중한 깡통을 함부로 버리면 안되겠죠?" "네∼" 지난달 26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캐니빌리지(Canny Village). 캔 재활용에 대한 설명을 듣던 초등학생 20여명이 안내원의 질문에 대답하며 함박웃음을 지었다 '깡통 마을'이라는 뜻의 캐니빌리지는 금속캔재활용협회가 지난 5월 개장한 국내 첫 어린이전용 환경교육 센터.이런저런 입소문 속에 호평이 이어지면서 올해 목표 방문자 4만명을 지난 21일 일찌감치 돌파했다. 협회 김상기 부장은 "간단한 체험과 놀이를 통해 평소 쓰레기로 알았던 물건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캐니빌리지는 국내 첫 어린이 전용 환경 전시관이라는 점 외에도 다른 의미를 갖는다. 지난 2003년 1월 시행에 돌입한 생산자책임재활용제(EPR)가 사업 2년여 만에 본궤도에 올랐음을 상징하는 기념물이기 때문이다. 1997년 이 제도를 본격 도입한 일본만 해도 정상화하는 데 5년가량의 시간이 걸렸다. 현재 금속캔의 재활용률(재활용량/생산량)은 통계상으로는 56%에 불과하지만 중간 수집상 단계에서 수거되는 물량을 감안하면 90%를 훌쩍 넘을 것으로 협회는 추정하고 있다. 제도 시행 이전만 해도 50%대에 그쳤다. 금속캔 외에도 플라스틱 타이어 유리병 폐지 등 주요 생활쓰레기도 EPR제도에 힘입어 60∼70%대의 높은 재활용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골칫덩이였던 자동차 윤활유는 폐유정제기술의 개발 덕에 전체 품목 중 처음으로 올해 70%를 넘어섰다. 정부가 이처럼 강력한 자원재활용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은 대부분의 공산품이 수입원자재에 의존하는 취약한 산업구조 때문이다. 환경부 자원순환국 정종선 사무관은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거나 친환경 제품생산과 유통망 구축만으로는 총 에너지(자원)소비를 줄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며 "결국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재활용"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우 자원재활용률을 1%포인트 높일 때마다 7조8000억원가량의 GDP(국내총생산)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환경부의 계산이다. 그렇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에어컨의 재활용률은 1%에 그치며 컴퓨터는 5%에 불과하다. 독성 폐기물을 함유한 형광등(13%)과 종이팩(28%) 등 일부 품목들은 낙제점을 면치 못하고 있다. 형광등의 경우 처리시설이 전국적으로 3곳에 불과하다. 문제는 재사용(중고제품유통) 비중이 높아 아직까지 배출량 자체가 적은 가전제품이다. 이들이 한꺼번에 폐품으로 나올 경우를 대비해 전문공단과 같은 대규모 재활용 단지가 건립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환경부 김성봉 환경정책과장은 "앞으로는 규제중심에서 탈피,환경교육과 참여시민에 대한 보상을 구체화하는 등 생산 유통 소비 주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 재활용률을 한층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