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ㆍ유럽 전력 가스업체 M&A 열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과 유럽에서 전력 및 가스업체 간 인수합병(M&A)이 줄을 잇고 있다.
이들 지역의 유틸리티 업체들은 노후 설비를 교체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지만 연료비 등 비용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데다 1990년대 급격히 민영화가 이뤄진 이후 재정 상태를 돌보지 못해 투자 여력이 없는 상태다.
이에 따라 M&A가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관련업체들이 술렁이고 있다.
미국에서 지난해 유틸리티 부문 인수합병이 4년 만의 최고 활황세를 보였던 데 이어 올 들어서는 유럽에서 주변국 전력 회사를 적대적인 방법으로 인수하는 사례까지 등장하고 있다.
◆유럽은 2007년부터 완전경쟁 체제
특히 유럽에선 2007년부터 전력·가스 시장이 완전경쟁 체제로 전환될 예정이어서 인수합병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5일 하루에만 스페인 가스 공급업체 가스네처럴이 자국 전력회사 엔데사를 타깃으로 적대적 인수합병 방침을 발표했고 독일에서는 유럽 3대 전력회사 중 하나인 E.ON이 영국법인을 내세워 영국 스코티시전력에 인수 제안서를 낼 것이라고 공표했다.
가스네처럴의 엔데사 인수는 227억유로짜리 거래로 유틸리티 부문 사상 최대 적대적 M&A다.
이에 앞서 프랑스 국영 전력회사 일렉트리시테가 이탈리아에 진출하기위해 에디슨을 인수했고,전력과 가스 공급 사업을 하는 수에즈는 벨기에 최대 전력회사 일렉트라벨을 사들였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올 들어 8개월간 유럽에서 성사된 유틸리티 부문 M&A는 총 977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두배 이상 늘어나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미국 70년만에 M&A 규제 폐지
미국에선 엑셀론이 PSEG를 인수해 현지 최대 유틸리티회사로 부상한 것을 포함,지난해 이 부문에서만 총 508억달러의 M&A가 이뤄져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미국 의회는 유틸리티 회사 간 M&A를 더욱 활성화시키기위해 지난 70년간 전력 및 가스공급자 간 M&A를 할 땐 반드시 증권감독위원회의 허가를 받게했던 '공공사업지주회사법'을 폐기,내년 2월부터 시행키로 했다.
ABN암로는 산업 동향 보고서에서 "설비 업그레이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연료비 부담도 늘고 있어 비용을 줄이고 투자를 하기위해선 M&A를 통한 대형화밖에 대안이 없다"며 앞으로도 M&A가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상사업체도 전력사업 진출
미국과 유럽은 이미 1990년대부터 전력과 가스공사들을 민영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갑작스런 규제완화는 이들 회사를 부실화시켜 설비 노후화와 공급 부족을 초래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와 동부해안에서 최근 몇 년 사이 전력난과 대정전사태가 발생한 것도 이 때문이다.
유럽이 완전 경쟁 체제를 도입하고 미국이 M&A를 독려하는 것은 공공 사업 부문 투자를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재정적자를 줄이고 이 부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공기업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각국 추세와 맞물려 전 세계적인 유틸리티 시장 구조조정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에선 마루베니,미쓰비시상사,미쓰이물산 등 대표적인 무역상사들이 유럽과 아시아의 전력시장 민영화를 기회로 삼아 해외에 발전소를 짓거나 지분을 인수하는 방법으로 전기 생산 판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