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싸이더스FNH 인수로 영화 콘텐츠 사업에 뛰어든 통신회사는 3개로 늘어났다. 올해 초엔 SK텔레콤이 연예 매니지먼트와 영화 제작을 하는 IHQ의 경영권을 인수했고,최근에는 LG텔레콤이 콘텐츠 제작 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내 영화 콘텐츠 시장은 CJ,롯데,오리온 등 기존 '빅3'에 3개 통신업체가 가세,6개 대기업의 각축장으로 변하게 됐다. 통신업체들이 앞다퉈 영화사업에 뛰어드는 것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을 비롯 와이브로(휴대인터넷),차세대 이동통신(HSDPA) 등 새로운 기술과 신종 미디어가 대거 출현하면서 영화 콘텐츠 수요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휴대폰을 통해 이용하는 모바일 영화와 음악 콘텐츠 시장은 약 1조원에 달했다. 이는 국내 영화흥행 시장과 맞먹는 규모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앞으로 영화제작 업체를 소유하지 않으면 콘텐츠 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란 예상도 한 몫 했다. 특히 유선통신은 물론 이동통신 사업도 한계에 달하면서 고객이 원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해 수익을 창출할 필요가 생긴 것도 통신업체들이 영화사업에 진출하는 요인이 됐다. KT나 SK텔레콤 등은 영상 콘텐츠 판권을 확보해 인터넷 와이브로 DMB 등에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일종의 '원 소스 멀티유스' 개념이다. 그러나 판권 확보만으론 미흡하다고 판단,영화제작사 인수와 영화펀드 참여,음원 제작사 인수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한류 열풍으로 국산 영화나 드라마가 해외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는 것도 콘텐츠 사업에 뛰어든 배경으로 꼽힌다. 배용준 주연의 영화 '외출'의 경우 일본에 73억원에 수출돼 개봉 전에 제작비를 전액 회수했다. '겨울연가' 이후 국산 드라마의 수출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