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금리, 동결이냐 깜짝 인상이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의 '8·31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 이후 처음 열리는 8일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당인 열린우리당에서는 부동산 대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번 기회에 콜금리도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반면 경기를 책임지고 있는 재정경제부는 콜금리 인상은 시기상조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콜금리 결정권을 쥐고 있는 한은 금통위 내에서는 동결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일부 위원은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 콜금리 인상 여부에 가장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채권시장 관계자들은 동결쪽에 무게를 두면서도 '깜짝 인상'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지표 호전.인상론 힘 얻을 듯
콜금리 인상 주장은 열린우리당 일각에서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원혜영 정책위의장은 최근 "소비가 회복 조짐을 보이는 만큼 금리조정을 검토할 여유가 생겼다"며 금리인상 필요성을 내비쳤다.
8월 금통위 때와 비교해 볼 때 경제지표들도 일제히 약진,콜금리 인상 명분이 한층 강해졌다. 7월 중 산업생산은 7.0% 증가해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내수경기를 재는 대표적 지표인 소비재 판매도 전년 동월 대비 4.9% 늘어 30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동결'에 무게,'깜짝 인상'가능성도
정부는 현재의 저금리 기조가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박병원 재경부 차관은 지난 7일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해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콜금리 인상)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주장에는 고(高)유가와 태풍 피해로 인한 해외 경제 둔화 가능성 등으로 국내 경기의 본격 회복을 장담하기엔 시기상조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콜금리 결정권을 쥐고 있는 한은 금통위도 430조원에 달하는 시중 부동자금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콜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인상 시점은 경기상황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게 다수 의견이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