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강력히 추진했던 대연정이 한나라당의 거부로 좌초위기를 맞으면서 향후 노 대통령이 꺼낼 제2,제3의 카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노 대통령은 한나라당 반대로 동력을 잃은 대연정을 추진하기보다는 연정의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대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여권의 대체적 시각이다. 단기적으로는 탈당 후 거국내각을 구성하는 안과 한나라당을 배제,군소정당들과 연정을 구성하는 이른바 '소연정'이 거론된다. 이중 탈당 후 거국내각 구성안이 현실적인 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노 대통령이 내세운 소수정권 한계 극복과 예상되는 내년 지방선거 패배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한나라당이 이번에 거부했지만 노 대통령이 당적을 떠나 중립적 위치에 선다면 상황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노 대통령이 민주당 김효석 의원과 추미애 전 의원은 물론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에게 과거 장관직을 제의했다 성사가 안된 데는 당적이 걸림돌이 된 측면이 없지 않다. 거꾸로 노 대통령이 탈당하면 야당의원들에 대한 개별 입각제의를 통해 거국내각구성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사실상의 연정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각에서는 소연정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나라당이 참여를 거부한 만큼 민주노동당,민주당 등과 연합정부를 구성하는 안으로 이들과의 연대를 통해 한나라당을 압박,선거법 협상을 여당이 뜻하는 대로 이루겠다는 게 핵심이다. 문제는 민노당과 민주당 모두 연정에 반대하는 데다 선거법은 게임의 룰을 정하는 것이라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지역구도 해소와 거리가 멀다는 한계도 있다.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이 8일 "소연정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한 게 맥을 같이한다. 이와 관련해 한나라당 맹형규 정책위의장은 예상 시나리오로 선거구제 개편을 둘러싼 정기국회 파행→대통령의 당적이탈→개헌 및 임기단축 로드맵 제시를 통한 정치권에 대한 최후 통첩→정치권의 합의 실패와 대통령의 개헌안 직접 발의→개헌안 국회부결과 대통령직 사퇴→조기선거 등 6단계를 제시했다. 실제 노 대통령은 자신의 구상이 먹혀들지 않을 경우 극단적인 선택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임기단축을 전제로 선거법 개혁과 개헌 추진 카드를 꺼낼 수도 있다. 지역구도 타파를 위한 선거구 제안을 국민투표에 회부할 개연성도 없지않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