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이현호 기자가 함. 그림1 부동산 아파트그림 그림2 금통위(박승총재 나온것) 그림3 유가 관련 그림 CG>주간경제 브리핑 < 기자 이현호 > CG1>부동산 일정 부동산 가격안정심의위원회 방폐장 선정작업 부동산 대책 후속입법 착수 금융협의회 발언 '주목' 석유 강제수요억제책 발동 여부 8월 고용동향 점검 [앵커1]이번주 한주간의 경제동향을 살펴보는 주간경제 브리핑 시간입니다. 이현호 기자 나와 있습니다. 이 기자! 이번주는 추석을 앞두고 있는데요. 이번주 한주 눈여겨 볼만한 내용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기자 이현호 > [기자]이번주에는 8.31 부동산 종합대책이 발표된 이후 열리는 부동산가격안정심의회나 한국은행의 금융협의회를 주목해야 할것 같습니다. [앵커2]8.31 부동산 대책 이후 후속작업이 이번주에 진행되나요? 또 부동산 가격안정심의 위원회도 열린다고 했는데 어떤 내용이 나올것 같습니까? [기자] CG1>부동산 일정 부동산 가격안정심의위원회 방폐장 선정작업 부동산 대책 후속입법 착수 이번주 12일에 부동산가격안정심의위원회가 열리는데요. 정부는 최근 주택값이나 땅값이 크게 오른 지역을 대상으로 투기지역 지정여부를 심사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경주 군산 포항 영덕 등 4개 지방자치단체가 방폐장 유치를 신청했는데요. 산업자원부가 이번주에 방폐장 선정작업이 본격화 한다는 계획입니다. 또,부동산대책과 관련해선 오는 15일 여당이 정책의총을 통해 국회에 의원입법 형식으로 상정할 법안내용의 가닥을 잡을 예정입니다. 먼저 열린우리당은 12개 개정법률안과 2개의 제정법률안 등 14개 법안을 발의하기에 앞서 여야5당이 부동산정책협의회를 열자고 제안해놓은 상태입니다. [앵커3]이번주 한주도 부동산 뉴스들이 쏟아지겠군요. 추석 바로전에 한국은행에서 금융협의회도 열리죠...박승 한은 총재의 발언이후 채권시장이 요동치고 있는데요? [기자]이번주엔 특히 금융시장을 관심있게 지켜봐야 할것 같습니다. 지난주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뒤 박승 총재의 금리인상 시사 발언으로 채권시장 금리가 출렁거렸는데요. 금융협의회 발언 '주목' 지금 시장 분위기라면 다음달의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이 매우 높을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이 예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오는 16일 9시에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협의회에서 시중은행장들이 어떤 얘기를 꺼내 놓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앵커4]국제유가문제도 참 걱정인데요.. 유가문제와 관련된 내용은 없나요? [기자]미국을 휩쓸고 지나간 '카트리나' 후폭풍에 대한 우려가 높지만 국제유가가 하락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국제유가 고공행진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석유 강제수요억제책 발동 여부 오는 15일에 석유시장 조기경보지수(EWS)가 강제수요억제책이 발효되는 '경계' 단계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체크해야 할것 같습니다. 아직 확정이 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강제수요억제책이 발효되는 '경계' 단계에 진입했기 때문에, 영업점 휴무나 옥외조명 절반 감축 등 강제적 석유소비억제책이 시행될 것으로 예상돼 있습니다. [앵커5]마지막으로 이번주에 발표될 주요 경제뉴스나 지표 어떤것이 있습니까? [기자]최근 산업활동동향과 서비스업동향 등 실물지표가 호조세를 보이고 있어 오는 15일 발표될 8월 고용동향에 실물호조가 어떻게 반영됐을지도 주목거리인데요. 8월 고용동향 점검 청년(15~29세)실업률이 7월 기준으로 8.3%로 여전히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고, 전체 실업률도 3.7%로 큰 변화가 없습니다. 내수회복이 감지되고 있지만 고용시장 개선에 영향을 줬을지 점검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한편,지난주에 발표된 소비자기대지수는 실물지표와는 동떨어진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한창호기자 ch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