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인 '노치'(Notch)가 세포의 죽음을 억제해 준다는 사실을 우리나라 연구진이 밝혀냈다. 이는 심장마비나 호흡곤란과 같은 응급 상황에서 심장이나 뇌 세포의 사멸로 인한 치명적 위험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사업단인 세포사멸연구센터의 최의주 교수(고려대 생명과학대학)는 노치 유전자가 'JNK'라는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세포의 사멸을 막아주는 메커니즘을 규명,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9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JNK 단백질은 산소 결핍같은 극도의 스트레스 환경에서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JIP1이라는 효소가 JNK에 결합해 그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연구팀은 노치 유전자를 작동시킨 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를 비교한 결과 극도의 스트레스 환경에서 노치 유전자가 작동된 세포의 사멸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이는 노치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단백질이 JIP1 효소와 JNK 단백질의 결합을 방해해 JNK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결국 세포의 사멸을 막아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최 교수는 "심근 경색이나 호흡 곤란,영양 부족 등으로 인해 혈액이나 산소,영양분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 세포 사멸로 인해 뇌나 심장 등에 치명적인 손상이 오게 된다"며 "노치 단백질을 조절하는 물질을 개발할 경우 이 같은 극한의 조건에서 세포의 죽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 이번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