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가입 절차는 간단하다.은행에 가서 통장을 개설하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신분증을 지참하고 가까운 증권사나 은행 지점에 가서 계좌 개설 신청서만 작성하면 된다.




다만 용어나 수익률 등이 은행의 일반적인 금융상품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펀드의 매매 단위는 좌(座)다.만약 펀드에 가입하면서 100만원을 냈다면 100만좌를 보유하게 된다.기준가격은 1000원이다.기준가격은 주가나 채권값에 따라 매일 변동한다.990원이 될 수도 있고 1010원이 되기도 한다.펀드 기준가격이 500원으로 떨어졌을때 펀드에 가입했다면 100만원으로 200만좌를 갖게 된다.적금상품을 해약하듯 펀드도 해약할 수 있다.가입했던 펀드를 판매사가 되사주는 방식으로 '환매'라고 한다.


재테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적금상품이 있듯 펀드의 종류와 형식도 다양하다.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같은 펀드 분류도 결국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수익성과 안정성 중 어느 곳에 초점을 두느냐의 차이다.때문에 투자목적에 맞는 펀드를 고르는게 중요하다.가장 염두에 둬야 할 사실은 일부펀드를 제외하고는 '원금보장'이 안된다는 사실이다.일반적으로 고수익을 원하면 주식투자비중이 높은 상품으로,안정적인 수익을 원한다면 주식비중이 낮은 상품이 바람직하다.


펀드의 종류를 정했다면 펀드상품을 둘러봐야 한다.이때는 판매사보다 실제 돈을 굴리는 자산운용사의 운용 실적을 봐야 한다.한국펀드평가(www.kfr.co.rk)와 제로인(www.funddoctor.co.kr)을 비롯해 자산운용협회(www.amak.or.kr)나 모닝스타코리아(www.morningstar.co.kr) 등에서 자산운용사와 펀드 성적표를 확인할 수 있다.최근 몇 달간의 수익률은 물론 과거 2∼3년간의 수익률도 함께 따져봐야 한다.


판매처에서 종합자산관리사(FP·금융기관의 경우 PB)를 만나보는 것도 바람직하다.펀드 투자 포트폴리오를 잘 짤 수 있고 환매 시점 등에 대한 조언도 들을 수 있다.수수료체계도 꼼꼼히 살펴야 한다.펀드마다 다른 운용보수(운용사)와 판매보수(판매사),중도환매수수료 등에 따라 수익률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수익률의 경우 주식형은 가입시점과 환매시점의 기준가 차이를 비교하는 반면 채권형은 연환산수익률을 사용한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