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통일외교통상위는 23일 쌀협상 비준동의안의 상정을 시도하려 했으나 민주노동당 의원들의 회의장 점거로 밤늦게까지 파행을 겪었다. 이 때문에 이날 예정됐던 외교통상부 국제협력단 등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는 열리지 못했다. 민노당 의원들은 쌀 협상안이 농업에 미칠 영향이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는 12월로 예정된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 결과를 보고 상정해도 늦지 않다고 주장하며 상정 저지에 나섰다. 하지만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의원들은 올 정기 국회에서 비준안이 통과되지 못할 경우 국제 무역질서에서 소외될 우려가 있다며 일단 비준안을 상정해 문제점을 검토하자고 맞섰다. 임채정 위원장이 국감을 시작하기 위해 자리에 앉으려 하자 상임위원장석을 점거한 민노당 의원들이 저지에 나서면서 회의장은 아수라장이 됐다. 임 위원장 측은 민노당 의원들을 끌어내려 했고 민노당 의원들은 강력하게 저항했다. '이 XX' 등 욕설과 삿대질,고성이 난무하는 등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사태가 악화되자 간사를 맡고 있는 열린우리당 유선호,한나라당 박계동 의원이 합의안을 마련해 민노당에 제시하면서 타협을 시도했다. 타협안에는 △오늘(23일) 비준안을 상정하지 않고 △민노당은 국정감사 이후 쌀 비준안 상정을 저지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또 통외통위는 쌀 협상비준안에 대해 상정 심의 의결 단계를 각각 거치도록 하고,심의과정에서 전문가와 농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다고 약속했다. 이 같은 합의 내용을 민노당에서 받아들였지만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다시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파행은 계속됐다. 민노당 의원들은 "이면 합의를 비롯한 협상 의혹이 풀리지 않은 가운데 정부가 내놓은 보완책은 기존 대책의 포장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열린우리당은 "비준안 상정을 막는 것은 국회의 기본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라며 "민노당이 선동적 정치 선전만을 계속한다면 경호권을 발동하지 않을 수 없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