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감사원에 대한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에서는 '로또복권 비리의혹'에 대한 감사문제가 쟁점이 됐다. 로또복권 시스템 사업자인 코리아로터리서비스(KLS)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특혜를 제공하고 수수료율을 지나치게 높게 책정했다는 의혹이다. 의원들은 감사원이 감사를 사실상 끝내고도 결과발표를 미룬 배경을 추궁하며 '봐주기 감사'가 아니냐고 질타했다. ◆'봐주기 감사' 논란=한나라당 김재경 의원은 "로또복권 비리에 대한 감사결과가 담긴 '복권제도 운영실태'라는 감사보고서가 작년 말 작성됐지만 아직 감사위원회는 정식 안건으로 다루지 않고 있다"면서 "감사결과를 쥐고 있는 이유가 뭐냐"고 추궁했다. 김 의원은 국민의 정부 핵심관계자들의 비리연루 의혹을 소개하면서 "감사원이 비리를 축소하거나 관련자에게 증거인멸의 기회를 준 것은 아닌지 검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전윤철 감사원장은 "정치권의 압력을 받아 감사가 지지부진하다는 주장은 천부당만부당한 것"이라며 "그렇다면 왜 국민은행과 KLS 영화회계법인 등 관련자들을 검찰에 고발했겠느냐"고 반박했다. 열린우리당 최재천 의원은 "감사보고서에는 사업자 선정 경위 및 시스템사업자 수수료율 도입과정에 대한 KLS의 개입여부 부분이 축소돼 있다"면서 "퇴직한 감사원 고위관계자가 지난 3월 KLS 감사로 취임했는데,이에 따른 '감사 압력설'도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첨확률 조작 의혹 첩보 입수=이날 국감에선 감사원이 로또복권 당첨자 발생확률 높이기 조작 의혹의 진위여부를 조사 중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감사원은 "복권발매 시스템 운영자인 KLS가 로또복권 발매 촉진을 위해 당첨자 발생확률을 조작했다는 첩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확률상 지난 2003년도의 로또 당첨건수(1~4등)는 265만건이 돼야 하지만 실제 발생건수는 314만건으로 49만건이나 많았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자료상 의심이 가는 부분이 있지만,확률은 장기적으로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내부 정보로 관리하고 있다"며 "의혹을 풀려면 전문가를 통해 복권발매 시스템 프로그램을 분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열린우리당 정성호 의원은 "감사원 퇴직자 중 재취업한 70명 가운데 55명이 정부 기관 및 민간 기업·단체의 감사를 맡고 있다"며 감사원 퇴직자의 피감기관 취업실태를 질타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