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신용보증기금이 지난 23일 현재 은행에 대위변제를 제때 못해준 금액이 4297억원에 달하고 여유자금이 600억원에 불과해 기보의 유동성 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보가 지난 2001년 보증한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금액이 최대 1조1631억원에 달해 전체 규모의 절반을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이헌 기보 이사장은 28일 부산 기보본사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보증사고 후 대위변제 기한인 3개월을 넘긴 지체 금액이 4287억원에 이른다"며 "연말까지 이를 600억원 규모로 줄이겠다"고 말했다. 또 "현재 기보의 보유자금 규모가 600억원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한 이사장은 또 "지난해 만기가 돌아온 P-CBO금액 가운데 일반대출로 상환 보증된 8022억원 가운데 1719억원이 추가로 디폴트됐으며 부실 규모가 3000억~3500억원 수준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보가 지난 6월 말 밝힌 추가 디폴트 전망치 2575억원에 비해 최대 1000억원가량 증가한 것이다. 이한구 한나라당 의원은 "상환보증의 디폴트금액이 최대 3810억원으로 추정된다"며 "P-CBO의 최종 디폴트금액은 1조1631억원으로 전체의 50.1%에 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기보 국정감사의 최대 이슈로 떠오른 P-CBO 정책의 책임소재는 증인으로 채택된 진념 전 재경부장관과 이근경 전 기보 이사장이 출석하지 않아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다. 국회 재경위는 내달 10일 재경부 국정감사때 해외여행중인 진념 전 장관에 대해 재출석을 요구하고 검찰조사를 이유로 불참한 이근경 전 이사장에 대해서는 동행명령을 내려 참석하도록 의결했다. 부산=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