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대로 '8·31 부동산대책'이 토지시장에 미친 영향은 컸다. 전국 토지시장의 매매거래가 거의 끊기다시피 했다. 가격도 하강국면에 접어들었다. 실거래가신고제가 도입되는 내년부터는 가격하락 및 거래두절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토지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개발예정지역 거래 끊겨 기업도시 혁신도시 신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 등 개발호재를 가진 지역은 대부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외지인의 매수세가 완전히 끊겼다. 매수세가 대책 발표 이전의 20%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다고 일선 중개업소들은 전했다. 이런 곳은 토지거래허가요건 강화 및 전매제한기간 연장,양도세 60% 중과 등이 예정돼 있어 가격이 더 떨어질 것으로 일선 중개업소들은 예상했다. 거래가 끊기면서 토지를 취급하는 중개업소들은 죽을 맛이다. 문을 닫거나 전업을 하는 업소들이 늘고 있다. 야간에 대리운전을 하는 등 생계를 위해 부업에 나서는 업소들도 생겨나고 있다. 다만 토지 물건별로는 차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보유가치가 있는 우량물건은 개발 기대감 때문에 매물로 나오지 않고 있다. 그러나 투자가치가 떨어지는 물건은 급매물로 나오고 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충청권이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을 받고 있는 반면 강원권 호남권 등은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일선 중개업소들은 전했다. 충청권과 강원권에서 활동하는 A컨설팅업체 관계자는 "매수세가 없는 곳은 아예 하나도 없고 재발재료가 있는 곳에서도 물건이 좋지 않으면 맥을 못 춘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비(非)토지거래허가구역·개발재료 없는 지역은 찬바람 비토지거래허가구역에선 찬바람이 불고 있다. 별 이유도 없이 덩달아 뛰었거나 대토(代土) 기대감으로 움직였지만 정부 대책 이후 썰렁한 모습이다. 특히 외지인 보유 토지의 경우 보상가 3000만원 이상에 대해선 채권으로 보상하겠다는 대책이 포함된 것이 대토 기대감으로 올랐던 지역에 충격을 주고 있다. 다만 규제를 피해 낙후된 지역으로 이동해 매매를 부추기는 중개업소들의 모습도 눈에 띄고 있다. 호남권 등에서 5만원 전후의 땅을 사라고 투자자들에게 매입을 권하고 있다. 이런 땅을 싼 맛에 매입하는 '묻지마 투자자'도 나오고 있다. JMK플래닝 진명기 사장은 "이런 땅은 90년대 초반보다 낮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오를 가능성이 없는 만큼 매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