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회사 상장문제에 다시 세간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생보사 상장문제는 상장에 따른 차익배분 문제를 놓고 시민단체와 대형 생보사 간 의견이 엇갈려 별다른 진척을 보지 못했다. 금융당국도 추후 책임문제를 의식해 섣불리 매듭을 풀겠다고 나서지 않았다. 생보사에선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달라고 했지만 묵살하다시피 했다. 하지만 상황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상장 이슈는 삼성 교보 등 대형사의 문제로만 여겨졌던 게 사실인데 최근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실타래가 풀려가는 듯한 분위기다. 신한금융지주는 지난달 27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신한생명을 주식교환을 통해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결정했다. 신한생명의 주당 가격은 1만5300원으로 정해졌다. 이에 따라 신한생명 주주는 신한생명 주식 1주당 신한지주 주식(3만4923원) 0.4382주를 배정받게 된다. 생보사 주주가 주식을 장내 매각하는 게 가능해진 첫 케이스다. 사실상 간접상장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게다가 미래에셋생명과 금호생명 등 중소형 생보사들이 잇따라 일반공모 방식의 증자를 추진하는 것도 생보사 상장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미래에셋생명의 경우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의무이행확약서에 '향후 생명보험회사 상장과 관련한 유가증권상장규정 등이 마련.시행될 경우 이 같은 기준을 이행할 것을 대주주들이 연대해 책임질 것을 약속한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일반공모가 상장절차의 하나임을 분명히 한 셈이다. 신한생명도 지주회사 편입과 지배주주 승인과정에서 향후 생보사 상장방안이 마련되면 지체없이 계약자 몫을 계상하겠다는 내용의 확약서를 내거나 이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조건부 승인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두 회사 모두 상장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 것이다. 이번에 1000억원 규모의 자본확충에 나서는 금호생명도 상장을 전제로 내걸 것임은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문제는 이 같은 분위기가 삼성생명과 교보생명의 상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와 관련,지난 5일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국회 재정경제위 국정감사에서 "생보사의 내부유보금 배분을 입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삼성생명을 비롯한 생보사 상장 문제를 관계기관과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당국 관계자들과 삼성.교보생명측은 한 부총리의 발언에 대해 일단 "원론적인 얘기 아니냐"는 조심스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도 상장문제 공론화에 대한 기대감도 숨기지 않고 있다. 특히 삼성생명 상장은 삼성자동차 부채처리 문제와 연관된 것이어서 어떻게 하든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배정충 삼성생명 사장도 "합리적인 기준만 만들어지면 언제라도 상장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또 교보생명은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해 자본확충과 상장을 절실히 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은 "생보사들이 이익을 계약자에게 돌려주는 유배당상품을 판매하면서 성장해왔기 때문에 상장차익도 보험계약자에게 배분해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접점을 찾기는 여전히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성태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