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 한국은행 총재가 6일 열린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의 한은 국정감사에서 현 경기상황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피력함에 따라 오는 11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콜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관측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재경위 소속 여야 의원들도 지난 3년간의 저금리 정책 폐해를 집중 추궁하며 콜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8·31 부동산 종합대책으로 인한 건설경기 둔화 가능성과 고유가 등 경기불안 요인들이 잠재돼 있어 금통위가 예상대로 콜금리 인상을 단행할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없지 않다. ◆콜금리 인상 강력 시사 박 총재가 지난달 "경기 상황이 예상대로 간다면 10월 금통위에서 콜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밝힌 직후 금융시장에서는 '10월 콜금리 인상'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지난달 말 발표된 8월 산업활동 동향에서 산업생산 증가율이 전달보다 다소 둔화되고 설비투자도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자 일각에서는 "10월 콜금리 인상은 힘들 것"이란 전망이 흘러 나왔다. 하지만 이날 국정감사에서 박 총재는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물가에 대한 불안감을 동시에 언급함으로써 이 같은 콜금리 인상 회의론에 쐐기를 박은 셈이다. 특히 박 총재가 "내년도 근원물가상승률이 3%를 상회할 것"이라고 언급한 점이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9월 금통위 직후만 해도 콜금리 인상에 대해 '소극적 반대'입장을 보이던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지난 4일 국정감사에서 "콜금리 인상에 대해 찬·반 의견이 없다"며 '중립'입장으로 돌아선 것도 콜금리 인상 가능성을 한층 높여주고 있다. ◆여야 의원들도 콜금리 인상 압박 이날 질의에 나선 여야 의원들은 콜금리 인상 문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로 의견이 갈렸으나 찬성쪽이 우세했다. 민주당 김효석 의원은 "금리 인상 문제를 고려할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가계 부문은 금융 부채보다 금융 자산이 훨씬 많다"며 "따라서 금리를 인상하면 가계 수입이 늘기 때문에 소비 진작에도 도움이 된다"고 지적했다. 열린우리당 문석호 의원도 "저금리 정책이 장기간 지속돼 부동산 가격 급등 등 부작용이 적지 않게 나타났다"며 "저금리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금리 인상은 저소득층에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며 금리 인상에 반대했다. 홍영식·김동윤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