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총재 한은 국감서 "내주 콜금리 올릴 수도… 안 올릴 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는 11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콜금리를 인상할지 여부에 대한 박승 한국은행 총재의 모호한 언급이 채권시장을 흔들었다.
박 총재는 6일 한은 국정감사에서 지난 9월 금통위 직후의 금리 인상 시사 발언과 관련해 "원론적인 얘기지만 동결이라는 관성에서 벗어나기를 촉구한 얘기였다"고 한걸음 물러섰고,지표금리인 국고채 3년물이 전날보다 0.11%포인트나 떨어지는 등 채권시장은 즉각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올릴 수도 있고,안 올릴 수도
콜금리 인상여부와 관련해 채권시장을 혼란으로 몰아넣은 것은 열린우리당 강봉균 의원이 "지난 금통위 발언이 한은이 경기회복추세가 확실하다면 올린다는 원칙적인 말씀으로 보이는데 시중에서는 10월쯤 올릴 것으로 받아들였다"며 원론적 언급이었는지 여부를 질문하면서 비롯됐다.
박 총재는 이에 대해 "10월 꼭 올린다는 얘기는 아니고 올릴 수도 있고 올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얘기였다"며 "시장이 동결이라는 관성에서 벗어나기를 촉구한 얘기였다"고 답변한 것.
이 같은 발언이 전해지면서 오전 중 소강상태를 보였던 국고채 3년물 금리가 급락세로 돌변,전날보다 0.11%포인트 떨어진 연 4.66%에 마감됐다.
한국투자증권 권정호 애널리스트는 "국정감사에서 박승 한은 총재가 콜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한 발 뺀 것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시장이 동요했다"며 "그러나 한은이 최근의 경기상황을 전반적인 회복세로 확인하고 있는 분위기여서 내주 콜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큰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날 국고채 금리 하락은 그동안의 급등세에 대한 조정의 측면이 더 강했다는 진단이다.
◆의원들은 '인상·동결' 맞서
이날 질의에 나선 여야 의원들은 콜금리 인상 문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로 의견이 갈렸으나 찬성쪽이 우세했다.
민주당 김효석 의원은 "가계 부문은 금융 부채보다 금융 자산이 훨씬 많다"며 "금리를 인상하면 가계 수입이 늘기 때문에 소비 진작에도 도움이 된다"고 지적했다.
열린우리당 문석호 의원도 "저금리 정책이 장기간 지속돼 부동산 가격 급등 등 부작용이 적지 않게 나타났다"며 "저금리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금리 인상은 저소득층에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며 금리 인상에 반대했다.
이 의원은 또 "8·31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까지 올리면 주택담보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이 급등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홍영식·김동윤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