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동북부 인도 국경 인근 카슈미르 지방에서 8일 오전 8시50분께(현지시간) 리히터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 파키스탄에서만 수천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파키스탄에서는 인도와 국경 분쟁 중인 카슈미르의 산간 마을들이 최대 피해를 입었고 수도 이슬라마바드를 비롯해 전국에서 건물이 무너져 주민들이 매몰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또 인도에서도 진원지와 가까운 북부 잠무 카슈미르 지방에서 157명이 사망하고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사망자가 나왔다. ◇규모ㆍ파장 = 미국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의 강도를 리히터 규모 7.6, 일본 기상청은 7.8이라고 각각 측정했다. USGS는 "발생 위치와 규모로 볼 때 상당한 물적 피해와 인명피해를 유발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진원지가 비교적 얕아 피해 지역이 넓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진이 리히터 규모 6.0 이상이면 심각한 피해가 있을 수 있고 7.0 이상이면 '메이저급' 지진으로 분류돼 광범위한 지역에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다. 진원지는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서 북동쪽으로 95㎞, 인도 북부 잠무카슈미르주 스리나가르에서 북서쪽으로 125㎞ 떨어진 곳의 지하 10㎞ 지점이었다. 이번 지진은 지역에 따라 30초∼1분간 강진이 계속된 후 14차례 정도 여진이 이어졌고 이슬라마바드와 인근 라발핀디, 라호르, 페샤와르 등과 이슬라마바드에서 남서쪽으로 700㎞나 떨어진 아프간 국경 근처 퀘타 등 파키스탄 전역에서 감지됐다. 아프간에서도 수도 카불과 배그람의 미군 기지에서도 진동이 느껴졌고 인도에서도 카슈미르 지역은 물론 더 남쪽인 뉴델리 근교에서도 진동이 감지돼 수백명이 대피할 정도로 충격파의 범위가 넓었다. ◇파키스탄 피해 = 샤우카트 술탄 파키스탄 군대변인은 상공에서 조사한 결과 "사망자 수가 수천명에 달할 것"이라며 "가장 피해가 큰 지역은 북부 카슈미르의 산악지대인 만세라와 무자파라바드 그리고 인근지역"이라고 밝혔다. 파키스탄 정부 관계자는 인구 12만5천명의 파키스탄 관할 카슈미르의 행정수도 무자파라바드에서 최소 250명의 희생자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파키스탄 민간 Geo TV는 아프탑 아흐메드 셰르파오 파키스탄 내무부 장관이 지진 사망자가 수백명이라고 말했다고 전했고, 재해대책본부 관계자도 AFP통신에 사망자가 수백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셰르파오 장관은 또다른 민간 방송인 ARY-1방송에서 마을 여러 곳이 초토화됐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는 10층짜리 마르갈라 타워 아파트가 절반 이상 무너져 수십명이 건물 더미에 깔리고 부상자들이 피를 흘리며 구조되는 모습이 민간 TV들을 통해 방송됐다. 또 19층짜리 빌딩 일부가 무너지고 주거용 건물의 꼭대기 2층이 붕괴돼 사상자가 엄청날 것이라는 보도들이 나오고 있다. 파키스탄 TV들은 무자파라바드에서 법원 건물이 무너져 판사 1명과 최소 25명이 숨졌고, 만세라에서도 고등학교 2곳이 무너져 학생 수십명이 숨졌다고 보도했다. 이슬라마바드 인근 라발핀디에서도 학교 한곳이 무너져 어린이 최소 2명이 숨지졌고, 라호르에서도 최소 8명이 다치고 가게 4곳이 피해를 봤다. 페르베즈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은 이날 이슬라마바드의 아파트 붕괴 현장을 둘러보고 이번 지진을 "국가에 대한 일종의 시험"이라고 규정하고 동원 가능한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해 피해지역 구호 및 구조작업에 나서라고 군과 각급 지방자치단체에 지시했다. ◇인도와 아프간도 사상자 = 인도 당국은 인도관할 카슈미르 지역에서 순찰을 돌던 인도 군 병사 15명을 포함해 157명이 사망했고 부상자도 수백명에 달한다고 확인했다. 수백㎞ 떨어진 아프간 북부지역에서도 흙집 십여채가 붕괴되면서 어린이 2명이 숨졌다고 현지 관리들이 전했다. (이슬라마바드 로이터.AP.AFP=연합뉴스) chae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