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의 날] (기고) SR는 생존조건,국제표준 대응에 기업들 적극 참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들어 소비자 근로자 시민단체 주주 등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은 기업에 이윤 창출 등 경제적 책임 외에 환경·노동·소비자·지역사회 등 모든 사회 영역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예컨대 1996년 나이키는 동아시아 아동근로자들을 저임금·부당 대우한 것이 밝혀져 불매 운동을 당하기도 했다. 텍사코는 인종 차별적 대화 테이프가 공개됨으로써 1억7600만달러의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이처럼 사회적 책임 경영은 가격 및 품질경쟁력 못지않게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경쟁력 확보에 핵심 요소가 됐다.
유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노동기구(ILO) 등 국제 기구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일부 선진국은 각기 상이한 사회적 책임(SR) 관련 지침 및 표준을 제정 활용하고 있다.
그러자 국제표준화기구(ISO)는 각국의 상이한 SR 표준이 무역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2004년 6월 SR에 대한 국제 표준을 작성키로 결의했다.
올해도 두 차례의 국제표준화 제정 회의를 열어 SR에 대한 표준 기본골격안을 확정하는 등 국제표준 제정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SR란 부패 방지(금품강요 뇌물수수 등) 환경(환경 예방,환경 책임,환경친화기술 개발 등) 노동(어린이 노동착취 금지,차별고용 철폐,결사의 자유 등) 인권보호(건강 증진,질병과의 투쟁,균등·평등기회 제공 등) 사회공헌 등의 측면에서 조직의 활동 원칙을 규정한 것이다.
따라서 SR 국제표준은 각종 입찰과 주식 상장시 기업에 대한 투자 및 거래 결정의 필수 요건으로 활용될 것이고 소비자 단체 및 환경 단체 등 각종 NGO(비정부기구)들은 기업에 대한 감시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앞으로 사회적 책임은 기업 생존의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사회적 책임이 소홀했던 한국의 경우 민간의 표준화 역량을 결집시키기 위한 표준화 포럼을 결성,국제 표준의 주제별 대응과 전문가 양성 등의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국제 표준의 대응은 전문가 집단만에 의존해선 안 되며 기업 소비자 노동 환경 등 각계각층의 모든 이해집단이 참여해 한국의 환경에 적합한 의견 수렴을 해야 한다. 따라서 SR 표준제정 활동에 많은 기업과 단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때가 왔다.
이제는 일회성 기부 위주로 사회 공헌을 표방하는 시대는 지나갔다. 사회공헌 활동을 기업가치 제고의 기회로 활용하고 기업과 사회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전략적 활동에 우리 기업들이 스스로 앞장서야 하겠다.